•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현빈도 상위 10위의 저자 선정 키워드로 분석한대한시과학회지의 연구현황 (Research Status of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Analyzed by the Top 10 Author Key Words Based on Frequency of Appearance)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2
8P 미리보기
출현빈도 상위 10위의 저자 선정 키워드로 분석한대한시과학회지의 연구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안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안광학회지 / 29권 / 4호 / 185 ~ 192페이지
    · 저자명 : 정수아, 김현정

    초록

    목적: 대한시과학회지의 연구현황을 저자 선정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시과학회지 의 창간호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논문의 한글초록(863편)에 포함된 저자 선정 한글 키워드(3,776개)를 수집하고 키 워드 정제작업을 실시 한 후 출현빈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출현빈도 상위 10위에 포함된 키워드와 동일한 논문에 등장한 동시 출현 키워드를 수집한 후 동시 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한시과학회지 출현빈도 상위 10위에 포함된 키워드는 굴절이상(54회), 안경사(38회), 콘택트렌즈(34회), 근시(31회), 입체시(24회), 건성안(22회), 안축장 (21회), 구면수차, 등가구면굴절력, 시력, 양안시(20회, 4종), 각막곡률, 굴절교정술, 동공크기, 폭주근점(19회, 4종), 노안, 누진렌즈, 사위(18회, 3종)로 확인되었다. 출현빈도 상위 10위 키워드와 동시 출현한 키워드는 697종 1,586개 이었다. 출현빈도 상위 10위 키워드가 등장한 논문에 10회 이상 동시 출현한 키워드는 굴절이상(46회), 근시(29회), 근시화(23회), 고위수차(22회), 안축장(20회), 양안시(19회), 코마수차(18회), 입체시(16회), 등가구면굴절력(15회), 가 입도(14회), 굴절교정술, 대비감도, 사위, 연령 (13회, 4종), 구면수차, 동공크기, 전방깊이, 조절력(12회, 4종), 각막굴 절력, 노안, 누진렌즈 (11회, 3종), 각막곡률(10회, 1종)로 확인되었다. 특히 동시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키워드 쌍은 ‘굴절이상-근시’로 총 14회 등장하여 대한시과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 분야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로 2023년까지 대한시과학회지에서 주로 실시된 연구주제를 확인하였으므로, 대한시과학회지의 저자들이 이후 연구주제를 설정하는데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earch status of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using author key words.
    Methods: Korean abstracts from 863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up to 2023 were analyzed for author-selected korean key words (3,776). Key words were filtered, and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was confirmed.
    Additionally, key words that co-occurred with the top 10 most frequent key 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ame papers, and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was analyzed. Results: The top 10 key words in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based on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refractive error (54 times), optician (38 times), contact lens (34 times), myopia (31 times), stereopsis (24 times), dry eye (22 times), axial length (21 times), spherical aberration, spherical equivalent, visual acuity, binocular vision (20 times, 4 types), corneal curvature, refractive surgery, pupil size, near point of convergence (19 times, 4 types), presbyopia, progressive lenses, and phoria (18 times, 3 types). There were a total of 1,586 key words of 697 types that co-occurred with the top 10 key words. Among the key words that co-occurred more than 10 times in papers containing the top 10 key words were: refractive error (46 times), myopia (29 times), myopic shift (23 times), higher-order aberration (22 times), axial length (20 times), binocular vision (19 times), coma aberration (18 times), stereopsis (16 times), spherical equivalent (15 times), addition (14 times), refractive surgery, contrast sensitivity, phoria, age (13 times, 4 types), spherical aberration, pupil size, anterior chamber depth, accommodation (12 times, 4 types), corneal refractive power, presbyopia, progressive lenses (11 times, 3 types), and corneal curvature (10 times, 1 type). Notably, the most frequently co-occurring key word pair was “refractive error-myopia,” which appeared 14 times, highlighting it as the most researched topic in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primary research areas covered in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up to 2023. It is anticipated that the authors of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will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electing future research top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안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