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깡의 정신분석에서 본 지리 교육의 주체와 위상학적 공간 (Subject and Topological Space of Geography Education in Lacan’s Psychoanalysi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2.09
41P 미리보기
라깡의 정신분석에서 본 지리 교육의 주체와 위상학적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리학회지 / 11권 / 3호 / 319 ~ 359페이지
    · 저자명 : 김미혜, 박철웅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와 시각적 공간이 직면한 한계에 라깡의 주체와 위상학적 공간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데카르트적 자아는 사물을 관찰하는 특권적 위치를 갖는데 이는 형이상학적 사고방식의 원근법적 공간관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거울 단계를 통해 타자의 이미지를 꿰어맞춰 자신의 내면에 채움으로써 진짜 자신인 것처럼 오인을 하기도 한다. 이로써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지를 모르는 자아는 타자에 대한 대결 양상의 메커니즘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신의 존재 방식을 알고 타자와의 공존을 위해서는 라깡의 정신분석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 주체 내부에 외부의 타자가 친밀한 방식으로 정착하면서 주체와 타자는 상호주체성을 갖게 된다. 기표 체계에서 주체는 발화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구조화되는데 이는 위상학적 공간과 같은 구조이다. 이처럼 무의식의 주체는 위상학적 공간처럼 외부와 내부가 연결된, 즉 타자와 함께 공존하는 외밀성의 공간이 된다. 지리 교육에서 다루는 해외 이주민은 외부의 타자로 기술이 되어 있는데, 이들은 외밀성의 형태로 공간화되어 이주국의 주체성의 일부를 차지함을 밝히고자 했다. 자아와 주체는 타자에 대한 각각 다른 윤리성을 보이는데, 자아는 성찰성, 주체는 수치심을 갖게 된다. 백인의 성찰성이 타인종에게 고통을 주는 인종주의의 근원이었음을 밝히고, 주체의 수치심이 타자에 대한 윤리성을 갖는 것임을 논의했다. 라깡의 정신분석은 지리 교육에 또 다른 지식의 축적이 아닌, 학생이 사유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Lacan’s subject and topological space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faced by the ego and visual space. The Cartesian self has a privileged position to observe things because it has a perspective space view of a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In addition, by stitching the image of the other through the mirror stage and filling it in one’s inner self, it is sometimes mistaken as if it were the real one. In this way, the self, unaware of how it exists, has a mechanism of confrontation with the other. As an alternative to this, one must become a psychoanalytic subject of Lacan in order to know one’s own way of existence and to coexist with others. As the external other settles in the subject in an intimate way, the subject and the other have inter-subjectivity. In the signifier system, the subject is unconsciously structured while uttering, which is the same structure as topological space. Like a topological space, the unconscious subject becomes a space of intimacy where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connected, that is, coexist with the other. The concept of extimacy can also be applied to foreign migrants covered in geography educ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psychoanalytic space to them shows an ethical attitude toward others. The ego and the subject show different ethics towards the other, and the ego has reflexivity and the subject has shame. It was revealed that the reflexivity of whites was the root of racism that caused suffering to other races, and the subject’s shame was discussed as having ethics toward others. Lacan’s psychoanalysis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can be a tool for students to think, not another accumulation of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