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지역 불천위제례의 역사문화적 전통과 현대적 조응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of ‘Bulcheonui Jerye’ in Honam Region and its Modern Adap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호남지역 불천위제례의 역사문화적 전통과 현대적 조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4호 / 85 ~ 117페이지
    · 저자명 : 서해숙

    초록

    본 연구는 호남지역을 대상으로 불천위제례의 전승현황과 역사문화적 전통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불천위제례의 변화와 조응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적 의미 구현을 살폈다. 제례 가운데 불천위제례는 국가에 큰 공을 세웠거나 덕이 높아서 그 신위를 영구히 사당에 모실 것을 나라에서 허락한 조상의 기제사를 일컫는 것으로, 이는 종가와 문중의 위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가 되기 때문에 의례 행위에 나타나는 전통성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에 호남지역에서 불천위제례에 관한 현황 파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종가와 문중 관계자와의 현장조사를 통해 불천위제례의 전승현황을 제의 대상, 성씨, 구분, 제일, 봉안 장소, 봉행 장소 등으로 구분하여 해당 내용을 살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비교적 불천위제례의 역사적 전통을 온전히 지키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구체적으로 살폈는데, 모두 불천위 대상인 조상을 통해 종가와 문중 전체를 통합시키는 구심점으로 작용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여느 문중과 변별되는 유대감을 조성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불천위제례가 근현대에 들어서면서 제례를 모시는 과정에서 그 변화상이 많이 포착되는데, 호남지역 불천위제례에서도 그 변화상이 크게 나타났다. 이에 김사형, 이선제, 이형정, 양팽손, 이상길 불천위제례 등을 사례로 들었는데, 종손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종손집안의 기제사로서의 의미와 기능을 발휘하였으나 이후 종손의 부재로 인해 문중 차원에서 조직적, 체계적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처럼 호남지역 불천위제례 역시 전통과 변화가 점철되고 있는데, 특히 호남의 지역사, 지역문화적 시각에서 볼 때 다른 지역에 비해 조선조 후기의 역사적 환경과 근현대 산업사회에서 이농현상 등이 주요했다. 그리고 호남지역에서 불천위제례를 모시는 대상은 크게 공신, 문묘 배향, 전란 때 큰 공을 세운 인물, 학문으로 덕망을 알린 인물, 관직으로 가문을 일으킨 인물 등으로 구분하여 살폈는데, 이러한 인물을 통해 종가와 문중의 위상이 매년 새롭게 정립되고, 후손들 간의 자긍심과 긍지 그리고 화합과 협력, 교화 등의 사회적, 문화적으로 함축된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succession status,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of Bulcheonui Jerye in Honam region and its transition in modern society, regional cultural meaning were observed.
    Bulcheonui Jerye among Jerye has significant meaning historically and culturally as a base of determining status of Jongga and Moonjoong. Under the condition that status for Bulcheonui Jerye was not confirmed at all, 31 places of Bulcheonui Jerye in Honam region at present were confirmed through site survey. Among these, a case in which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was well preserved was observed in terms of its aspect and meaning.
    In addition, nowadays, as Bulcheonui Jerye was changed from the center of Jonga to that of Moonjoong, its recognition and attitude have been gradually changed because even though historical tradition was damaged, proper response was considered to be made by matching with changing times in order to succeed such Jerye.
    As Bulcheonui Jerye is succeeded based on historical reason and justification, it plays a pivotal role of integrating Jongga with Moonjoong. In addition, it creates fellowship of descendants being differentiated from other Moonjoong and practices social, cultural meaning such as self-pride, harmony and cooperation among descend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