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정 이정직의 논시시 연구 -<戱爲二十四絶句>를 중심으로- (On Nonsisi (Poem-criticizing Poetry) of Seokjeong Lee Jeong-jik: With a Focus on "Huiwi isipsa jeolgu")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08.08
31P 미리보기
석정 이정직의 논시시 연구 -&lt;戱爲二十四絶句&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43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구사회

    초록

    이 논문은 한말의 문예이론가였던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1841-1910)의 논시 작품에 대한 논의인데, 그 중에서 <희위이십사절구(戱爲二十四絶句)>라는 논시절구(論詩絶句)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희위이십사절구>를 간과하여 논시절구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다뤄진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는 한국 ‘이시논시(以詩論詩)’의 양식사에서 하나의 발굴적 성과라고 말할 수 있다.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를 살펴보기 이전에 먼저 역대 논시절구의 양식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시절구는 당나라 두보의 <희위육절(戱爲六絶)> 이래로 금나라에 이르러 시인에 대한 비평을 앞세우는 원호문(元好問, 1190-1257)의 그것과 시 자체에 대한 관점이나 법식을 위주로 하는 대복고(戴復古, 1167-1250)의 그것으로 전개된다고 보았다.
    한국에서의 논시절구는 19세기 전기에 신위의 <동인논시절구(東人論詩絶句)>에서 시작되는데, 그것은 자하 신위 ⟶추금 강위 ⟶ 매천 황현 ⟶ 석정 이정직으로 이어졌다.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는 벗이었던 매천과의 교류에서 얻어진 문예적 성과물로서 1902년도에 지어졌다. 한편, 신위와 황현은 작품론으로, 이정직은 창작론으로 방향을 달리한다.
    석정은 <희위이십사절구>와 같은 논시절구를 비롯하여 70여수의 논시시를 남겼다. 석정의 논시시들은 그 대부분이 작가나 작품보다는 성정이나 시정신과 같은 본질론, 학시와 작시상의 문제와 같은 창작론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특히 석정의 논시절구인 <희위이십사절구>는 전체적으로 시를 지어나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언어나 시어, 용사나 표현의 문제 등과 같은 창작론으로 이뤄져 있었다.
    논시절구에 드러난 석정의 시론은 독창적이거나 개성적인 작품보다 평이하고 담박한 풍아의 유풍과 함께 심성에서 우러나온 진실한 시작품을 옹호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석정의 시론은 『시경』ㆍ「풍아」 로 대변되는 동양 고전의 예술 정신에 의미를 부여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고전주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신위나 황현의 논시절구는 역대 작가에 대한 시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석정의 그것은 작시나 학시 과정에서 유의해야할 창작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Seokjeong Lee Jeong-jik’s ‘nonsisi’ or ‘sirons’i (poem-criticizing poetr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huiwi isipsa jeolgu(희위이십사절구)>, a "poem-criticizing" quatrain. Until now, researchers hav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the quatrain. Therefore, the discussion of Seokjeong’s <huiwi isipsa jeolgu> i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field that has studied the evolution of the formats of poem-criticizing poetry.
    The first poem-criticizing quatrain in Korea was Shin Wi’s Donginnonsi jeolgu(<동인논시절구>), a work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tradition was sustained by Jaha Shin Wi, Gohwandang Kang Wi, Maecheon Hwang Hyeon, and Seokjeong Lee Jeong-jik. Seokjeong’s <Huiwi isipsa jeolgu>, written in 1902, was a literary output enabled by his friendship with Maecheon.
    The poets specialized in different fields. Shin Wi and Hwang Hyeon worked on theory of individual works whereas Lee Jeong-jik focused on theory of creative writing. Seokjeong was not interested in individual poets or their works. Most of Seokjeong’s nonsisi (poem-criticizing poetry) dealt with theory of essence on temperament and theory of creative writing on haksi (learning-oriented poetry) and jaksi (poetry writing) issues.
    In particular, Seokjeong’s <huiwi isipsa jeolgu> deals with issues of theory of creative writing : general issues of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that are encountered as poems are written, citations, and expressions.
    In his "poem-criticizing" quatrain, Seokjeong displayed a preference for simple, unambitious, and veracious works rather than unique and individualized works. Overall, Seokjeong’s theory of poetry upheld the artistic spirit of the East’s classicaltradition and tried to sustain it in the moder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