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그러진 조국-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The Contorted State of a Homeland -The Pathological Disease of a Quarantine State and the Topology of a Sp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5.02
50P 미리보기
일그러진 조국-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55호 / 53 ~ 102페이지
    · 저자명 : 임유경

    초록

    이 글은 해방 이후 한반도의 두 체제가 자기의 국가적 경계를 형성하는 데 ‘일본’과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매개하고 있었는지를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을 통해 추적해보고자 한다. 이는 두 체제의 적대적 공조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간첩’으로 정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면서, 남한정부가 탈식민과 냉전의 시간을 전유해가던 역사의 길목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던 일본과 북한이라는 내밀한 ‘자기-타자’를 외부화시키던 방식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재일조선인 청년들이 모국유학을 위해 현해탄을 건너오기 시작한 것은 60년대 중반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나서부터였다. 그리고 1971년에 이르러 이들 유학생은 불미스러운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한국의 공론장에 등장했다. 서승ㆍ서준식 형제가 연루되었던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을 시작으로 한국사회에는 유사사건이 쉼 없이 터져 나왔으며, 이 시기의 사건들은 50ㆍ60년대에 비해 빈도수, 규모, 사회적 파장 등 여러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재일조선인’과 ‘간첩’ 사이의 하이픈을 구성하는 권력의 작업이 본격화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한반도의 두 체제에 있어 ‘일본’이라는 대상(장소)이 다변적 의미를 가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즉, 박정희 정권하에서 내셔널리즘과 반공주의라는 복수의 해석 코드에 의해 ‘북한’-‘간첩’-‘재일조선인’-‘일본’이라는 항들이 연계되고 재배치되는 과정은 보다 면밀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냉전’(반공)이라는 필터가 한편으로는 ‘최상의 적’인 ‘북한’과 연계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소위 ‘심리적 적국’인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점은 다른 동포들과는 차별화되는 재일조선인의 상황을 복기하게 만든다. 북한과 일본이라는 두 항에 매개됨으로써 재일조선인의 상황은 한층 더 복잡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냉전의 시간’과 ‘탈식민의 시간’의 중첩으로 인해 빚어지던, 한 가족의 신체에 켜켜이 쌓여가던 ‘불가상성(不可想性)의 시간’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이 갖는 정치적ㆍ문화적 의미를 논고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맥락을 구성했다. 그중 첫 번째는 ‘두 개의 한국’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국가적 관심의 대상으로 발견되는 과정을 맥락화하는 일이다. 해방 이후부터 사건이 발생하는 197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재일조선인에 관한 인식의 변화 추이와 이러한 변화를 추동한 중요 요인으로서의 체제경쟁에 대한 통시적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간첩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재일조선인 및 한일관계 연구를 보충하는 한편, 새롭고 유의미한 논의의 지점을 개시함으로써 기왕의 연구사적 시각을 한층 폭넓게 확장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어, 두 번째는 60년대 중반 이후 발생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대규모 간첩단 사건들과의 관련 속에서 해당 사건의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은 한반도의 두 국가에 있어 ‘간첩의 위상학’이 더 논의되어야 할 주제임을 알려준다. 이 사건을 다른 간첩단 사건들과 겹쳐 읽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국민’과 ‘간첩’이라는 두 주체범주의 확장과 변이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고, 아울러 재일조선인이 ‘잠재적 간첩’으로 인식되었던 맥락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넓은 역사적 지평에서 보자면,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냉전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편된 한반도와 그 이외의 지역들 간의 경계, 아울러 한반도 내부의 두 체제 사이의 경계를 모두 건드리고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해방과 분단이라는 두 개의 축을 보다 정치한 맥락에 위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의 2절과 3절은 이 두 가지 맥락을 구축하기 위해 쓰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4절에서는 해당 사건의 당사자였던 서승ㆍ서준식과 그의 가족을 통해 ‘재일조선인 간첩의 탄생’이 중층적 역사의 시간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지를 짚어보았다.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검역국가의 병리성, 즉 분단의 질병으로서의 ‘자기면역병’이 냉전의 유산인 동시에 풍토병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을 일깨워줄 것이다. 그야말로, 냉전은 저 멀리 시베리아 반도와 아메리카에서 흘러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발밑에서’ 피어오르고 있었음을 말이다. 또한 이 사건은 우리로 하여금 탈식민과 냉전이라는 두 개의 전선이 교차되는 자리에 서 있던 주체들과 그들을 “짓누르고 있던 운명”, 그리고 그들이 “이 운명의 형태”를 응시하던 방법들에 관해 숙고하도록 이끌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two regimes of the Korean Peninsula made use of the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Zainichi Koreans") in order to form their discursive boundari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y focusing on the spy incidents of the Zainichi Kor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y incident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words such as North Korea, a spy, a Zainichi Korean, and Japan are connected and rearranged through the analysis code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This is a research on the process by which the Zainichi Koreans were identified with spies due to the hostile rivalry of the two regimes, and how South Korea externalized Japan and North Korea that it could not help but encounter monopolization during the time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old War (anti-communism) is connected with the supreme enemy (North Korea), and also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called psychological enemy (Japan). This reminds us of the situation wherein the Zainichi Korean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Koreans who resided oversea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became big quarantine authorities for the prevention of disease transmission in an extensive, and yet secretive, way. The reason why the two regimes devoted themselves to a heightened state of alert and the supervision of migrating people was the fact that the migration control was at the heart of supervision and construction regarding the preventive system for a quarantine state. In South Korea, communism was the most dangerous infectious disease and, in this respect,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communist Law functioned as the strongest quarantine act. Furthermore, North Korea was the most important quarantine target for South Korea. However, North Wind (a North Korean Variable) did not only blow directly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t it also infiltrate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watched country among the outside plac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Japan. This place held an important position of propaganda activity that was carried out b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contact zone, where it constantly mediat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where both parties conglutinated. This geopolitical and symbolic significance of Japan stems from the occurrence of the Cold War worldwide, and the fact that the outside world had been monopolized by the Korean Peninsula situation. Moreover, this new location has been reinforced by a series of spy incidents, which occurred in the Korean society during the 1970s.
    The spy incidents showed that the Cold War did not come from the distant Siberia and America, but instead, it started out from its own land. The autoimmune disease is the legacy of the Cold War; however, it also has characteristics of an endemic disease. A new immune system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the division period, however,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was disabled.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mplied that the sociopolitical immun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started to collapse. This context reminded us that the nationalization of the people, who were able to come and go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could not be discussed without mentioning the word 'spies'. For this reason, the topology of a spy should be discussed further with regard to the Cold War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questions pertaining to the reason why a spy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reorganizing the topography of the Cold War, and the reason why the Zainichi Koreans should be thought of as potential spies. The spy incidents are important in starting a productive discussion and forming a significant contex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other words, this subject analyzes the self-injurious behavior,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and this time of deliberation would enlighten us that the division tragedy actually pertains to the scarred faces of the people who were accused of being spies, and not the Korean Peninsula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