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정정(靜定)과 위육(位育)사상 (Mokeun Yisaek’s Thought of the Establishing the Order in Heaven and Earth and the Realization of All Creature’s Substancial Lif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정정(靜定)과 위육(位育)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8권 / 83 ~ 108페이지
    · 저자명 : 박경심

    초록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은 여말 선초의 사대부로 원나라 국도에서의 학습을 통하여 성리학의 학습과 고려에서의 교육을 통한 확산 그리고 그 이념적 실천의 과정을 통하여 조선 도학의 토대를 마련한 정고(貞固) 중정(中正) 지향의 실천적 성리학자이다. 그는 주돈이(周敦頤1017-1073)를 사숙의 스승으로 삼았다. 또한 북방 이학의 대표적 인물인 허형(許衡 1209-1281) 그리고 구양현(歐陽玄 1283-1358)과는 직접적 사승관계를 맺었으니 그 학통에 나름의 자부심을 가졌다.
    원과 명의 교체기 그리고 고려와 조선의 역성혁명의 과정에서 살았던 목은은 당시 사람들이 마치 캄캄한 어둠 속에서 수레가 전복되도록 제멋대로 내달리는 것 같은’ 삶을 살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면서도 성인이 밝혀 놓은 해와 별 같은 『대학』 『중용』과 『역』 「계사전」이 하늘에서 밝게 비추며 바른 향방을 제시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이 세 경전의 핵심이 정정(靜定), 계구(戒懼), 중화(中和), 적연(寂然)이며, 이는 유학 수양론의 핵심적 위치에 있는 경(敬)과 같다고 하였다. 이런 공부로부터 목은이 얻으려 한 것은 실효적 관점에서 난세(亂世)를 사는 시중(時中)의 도리였고, 질서 정립으로서의 천지위(天地位)와 모든 생명의 창달로서의 만물육(萬物育)이었다. 그것은 근본에 충실한 공부이고 상황의 변황에 따라 최선을 이루어내는 창조적 정의를 찾는 것이다.

    영어초록

    Mokeun(牧隱) Yisaek (1328-1396) was a practical Neo-Confucianist who laid the foundation for Choson Taoshueh[道學] through the learning of Neo-Confucianism on the national School of the Yuan Dynasty, the spread of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ideological practice in Righteous and Solid attitude in Korea. He made Joutuni(周敦頤 1017-1073) his master of private education. Also he had a direct relationship with Suheong (許衡 1209-1281) and Ouyangxuen(歐陽玄1283-1358) representative figures of northern Neo -Confucianism, so he took pride in that school.
    Mokkun, who li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Yuan and Ming, and the Korea and Choson dynasty, saw that people at that time were living a life as if they were running their own way to overturn a cart in the dark. At the same time, he believed that the 『Great Learning』 『Golden Mean』 and 『Yi-jing』 which were written and illuminated by Sages, were brightly shining from the sky and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He said that the core of these three scriptures were Jìng-dìng[靜定)], Zhōng-hé[中和] Jiè-jù[戒懼] and Jì-rán[寂然], which were the same as the progress in the core position of Confucian self cultivation theory named Jing(敬). From these studies, what Mokeun tried to obtain was the proper road of living in a difficult times from an moral effective point of view, the proper status of heaven and earth as the establishment of order of all things as the realization of all life’s substancial entities. It is a study that is faithful to the fundamentals and is to find creative justice that achieves the bes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