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학적 관점에서 본 네이버와구글의 시각 정체성: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The Visual Identity of Naver and Googl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Focusing on Websit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04
22P 미리보기
미학적 관점에서 본 네이버와구글의 시각 정체성: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25권 / 25호 / 115 ~ 136페이지
    · 저자명 : 권승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네이버와 구글의 웹사이트를 새로운 생활 공간으로 간주하고 그 공간의 시각 정체성과 서사 정체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시각 기호학과 구성적 해석을 방법론으로 활용한다. 네이버와 구글의 웹사이트는 크게 홈페이지와 검색 결과 페이지로 구분된다. 우선 홈페이지에서 구글이 단순히 검색 공간만 제공한다면 네이버는 검색 공간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공간을 제공한다. 검색 결과 페이지는 둘 다 검색 공간, 검색 결과 공간, 공지 공간으로 나뉘지만 구글이 외부 웹사이트 중심의 결과를 보여준다면 네이버는 내부 콘텐츠 중심의 결과를 보여준다. 두 웹사이트는 검색과 다양한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론적인 기능은 동일하지만 시각적 형태가 상반된다. 네이버 웹사이트가 다중 패널구조에 안으로 향하는 방향과 녹색 중심의 직선과 평면적인 형태를 띠고 불연속적인 움직임을 갖는다면 구글 웹사이트는 반대로 단일 창 구조에 밖으로 향하는 방향과 다색의 곡선과 입체적인 형태를 띠고 연속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이러한 시각적 형태와 상응하는 내용의 형식으로 네이버는 폐쇄성, 복잡성, 다원성, 유희성, 서열성, 인위성, 현실성, 안정성을 갖는다면 구글은 개방성, 단순성, 통일성, 생산성, 평등성, 자연성, 이상성, 자유성을 갖는다. 이로써 네이버가 검색뿐만 아니라 현실적이고 유희적인 다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폐쇄적이고 질서정연한 콘텐츠 플랫폼이라고 정의한다면 구글은 검색에 집중하면서 다양한 생산성 도구를 제공하면서 이상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한 검색 플랫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네이버와 구글 모두 단절과 재연결을 통한 자기보존의 서사 정체성을 갖고 있다. 네이버는 기존 포탈의 디렉터리 검색과 단절하고 타기업의 검색 기술을 차용하고 PC통신의 방식을 재연결하여 통합 검색과 지식iN 등의 혁신을 통해 자기보존을 했다면 구글은 기존 포탈의 배너광고와 단절하고 타기업의 문자광고 기술을 차용하고 논문의 인용방식과 재연결하여 페이지 랭크와 구글센스 등의 혁신을 통해 자기보존을 이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websites of Naver and Google as a new lived space and derive the visual identity and narrative identity of the space. To this end, this paper uses visual semiotics and compositional interpretation as methodologies. The websites of Naver and Google are largely divided into homepages and search result pages. First of all, while Google simply provides a search space on the homepage, Naver provides various service spaces as well as a search space. Search results pages are both divided into search space, search result space, and notice space but while Google shows results centered on external websites, Naver shows results centered on internal content.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two websites are the same in that they provide search and various services and tools, but the visual form is different. If the Naver website has a multi-panel structure with an inward direction, a green centered straight line, and a flat shape, and has discontinuous movement, the Google website, on the contrary, has a single window structure with an outward direction, multi-colored curves, and three- dimensional shape, and has a continuous movement. In the form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se visual forms, Naver has closure, complexity, pluralism, playfulness, hierarchy, artificiality, reality, and stability, while Google has openness, simplicity, unity, productivity, equality, naturalness, ideality, and freedom. Hereby if Naver is defined as a closed and orderly content platform that provides not only search engine but also realistic and playful multi-services, Google is defined as an open and freewheeling search platform that pursues an ideal goal by providing various productivity tools while focusing on search engine. And both Naver and Google have narrative identities of self- preservation through disconnection and reconnection. Naver maintained itself through innovations such as Unified search and Knowledge iN by cutting off from directory search of existing portals, borrowing search technology from other companies, and reconnecting PC communication methods. Google has achieved self-preservation through innovations such as PageRank and Google Sense by cutting off from banner advertisements of existing portals, borrowing text advertisement technology from other companies, and reconnecting with the citation method of pap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