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찰청 웹사이트를 활용한 PR 내용분석 - 재난관리를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the Public Relations reported in the Website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 Focusing on the Emergency Management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5
29P 미리보기
경찰청 웹사이트를 활용한 PR 내용분석 - 재난관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찰학논총 / 6권 / 1호 / 97 ~ 125페이지
    · 저자명 : 윤희중

    초록

    유비쿼터스 정부 및 스마트 사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공공기관의 PR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정부의 재난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재난관리를 지원하는 경찰기관도 예외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찰이 선진국에 비해 재난관리를 주도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경찰청 웹사이트의 재난관리 PR문제를 검토함으로서 경찰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선행연구에 근거한 웹사이트 평가항목을 재난관리와 관련하여 재설정했다. 다음에 한국의 경찰청과 지방경찰청(해양경찰청은 제외)의 웹사이트에 해당 항목(4개의 평가항목과 13개의 세부항목)을 적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우리나라 경찰청 웹사이트는 재난관리 PR을 위한 구조적 인프라는 구축이 되었지만 콘텐츠 구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리고 재난관리에 있어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웹사이트의 장점을 거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웹사이트에 재난관리 기구를 배치하거나 링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재난관리 콘텐츠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최신 정보를 게재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용성을 높이고 전자공청회를 통해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넷째, 모바일에 기반한 시스템을 확대하여 이용자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다섯째, 재난관리 콘텐츠를 더 체계적으로 세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외국어 사이트의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일곱째, 재난관리 메뉴는 좌측에 배치하면 효과적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준의 타당성 문제가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이후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ubiquitous government and smart society is under active discussion. These changes are expected to highlight public rel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these moves will have a effect on the emergency management of the government.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KNPA) is no exception. As of today, KNPA has not taken a leading role for the emergency management compared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mergency Management, it is aimed at reconsidering of the public relations reported in the website of KNPA and reorganizing the position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achieve this goals, First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website based on an earlier study re-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y management. The Website of KNPA was then analyzed using evaluation categories.
    All in all, the Website of KNPA has been built up infrastructure for PR focused on the emergency management. but there are little contents for the emergency management, according to a study. KNPA is underutilizing a good point of the website that provide two-way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emergency management.
    Therefore, I suggested some alternativ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 for emergency management should arrange or link in website. Second, KNPA should offer the customized contents and post on its website to keep dversity of contents on the emergency management. Third, KNPA should increase utility to offer information to solve Internet user's problems and check their progress by using a electronic public hearing on a regular basis. Fourth, KNPA should promote user's participation by expanding the mobile system on its website. Fifth, To sustain effectively their website, KNPA should departmentalize contents on the emergency management in a more systematic manner. Sixth, KNPA should update website in 3 different languages -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eventh,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arrange the main menu on the emergency management on the left of the website screen. And lastly, This study should make up for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and review empirical databased on a survey of users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