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 대상의 영양교육 웹사이트 개발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Website for Childr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03.06
11P 미리보기
초등학생 대상의 영양교육 웹사이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8권 / 3호 / 259 ~ 269페이지
    · 저자명 : 현태선, 연미영, 김난희, 김선희, 안숙미, 이순미, 지현정, 선명희, 오춘화, 왕선희, 홍미경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대상의 영양교육 웹사이트를 개발하고자 첫째, 어린이 대상의 기존 국내외 영양교육 사이트 일부에 대하여 제공되는 내용 및 신뢰도, 사용의 편리성 등을 평가하였으며, 둘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정보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참고로 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사이트를 개발하였다.
    1. 영양교육 웹사이트 평가본 연구에서 임의로 선정한 어린이 대상의 영양교육 웹사이트 7개에서 제공되는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식품구성탑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영양소, 소화, 식품위생, 영양표시, 바람직한 식습관, 비만, 운동, 요리 등에관한 설명이 있었다. 또한 영양과 관련된 퀴즈나 게임을제공하고 있었는데, 퀴즈나 게임은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효과가 높은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영양교육을 위한 퀴즈나 게임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 7개의 사이트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새로 개발될 영양교육 웹사이트에서 특별히 고려할 점은 영양전문가가 정보를 제공한다는점을 명확히 할 것, 제공되는 정보의 출처를 밝힐 것,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것, 내용을 어린이의 수준에 맞도록 쉽게 만들 것, 검색기능을 넣을 것, 어린이들과 의견교환이되도록 할 것, 어린이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생동감 있게만들 것 등으로 분석되었다.
    2. 초등학생의 영양정보 요구도 조사초등학생들이 원하고 있는 영양정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52.0%가 인터넷을 통하여 영양정보를 찾아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경우는 62.2%이었고, 그 중 24.7%는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가 도움이 되지않았다고 응답하였다. 도움이 안 된 이유로는‘내용이 너무 어려워서(34.8%)’,‘실생활과 거리가 멀어서(26.1%)’ 등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정보에 대한 요구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후 그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30개의 항목 중‘나에게 알맞은 체중’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내가 간단히 만들수 있는 요리방법’,‘신선한 식품 고르는 방법’,‘바람직한 체중 조절 방법’,‘운동으로 소모되는 열량’,‘살이 왜찌는가?’,‘살을 덜 찌게 하는 음식’ 등으로 대체로‘체중조절’의 주제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았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웹사이트를 개발하고자 할 때에는 기본적인 영양정보 외에 체중조절, 음식만들기, 식품선택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과 내용을쉽고,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영양교육 웹사이트 개발위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큰 주제와 세부 주제를정하였고 그 안의 내용들을 작성하여 영양교육 웹사이트를개발(http://ifood.or.kr)하였다. 어린이들에게 필요하다고생각되고, 어린이들이 원하는 다양한 내용을 이 사이트에넣으려고 노력하였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트이므로 내용을 쉽게 만들고, 또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올바른 식습관을 갖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사이트에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본인의식사평가를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한 것과 어린이들의흥미를 끌 수 있도록 음향을 이용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게임의 대부분이 영양지식을 맞추는 퀴즈로 이루어졌는데, 인터넷을 통한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이려면 여러 가지 재미있는 영양교육 게임을 개발하여 보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웹사이트가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인 영양교육 사이트가 될 수 있으려면 실제 이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본 사이트의 내용에서 이해하기 어려운부분과 사용시 어려운 점, 개선해야 할 점 등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website for children, especially those around the 4th6th grade levels. Among the already existing websites providing nutritional information for children, 7 websites with comparable amounts of information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topics, credibility, content, ease of use, and aesthetic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ed for nutrition information among 305 elementary students.
    The food pyramid was the topic offered most often on those websites. Information on nutrients, digestion, food safety, nutrition labeling, and healthy eating habits were available on the websites. Some of those websites also provided games or quizzes to attract the children’s interest. However, some of the websites did not give any information on the person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which is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the website.
    Other problems were that some information was too difficult for children, and some of the websites did not provide a way to search f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topics that children wanted to know about were ‘desirable weight’, ‘cooking’, ‘correct food choice’, ‘weight control method’, ‘calories consumed during exercise’, but, they did not have a high interest in ‘asking questions’ ‘books with nutrition messages’, ‘underweight’, ‘negative effect of weight control’ and ‘helping hungry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new nutrition education website, ifood’ (http: // ifood.or.kr). We focused on helping children develop healthy eating habits by providing information which is easy and practical for children. However, we neither included the program to assess their dietary intake, nor provided entertaining background sounds, which children like. Also, the game section is composed mainly of quizzes.
    Therefore, we need to further develop exciting games to teach nutrition to children. In the near future, the newly developed website should be evaluated by children regarding understandability and coverage of the contents as well as usability and design, and then revis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3) : 259 ~ 269, 200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