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w제주TV의 웹‧TV드라마 연구-웹드라마의 TV드라마화, 제주 재현의 양상, PPL의 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f Web‧TV Drama on Now Jeju TV)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Now제주TV의 웹‧TV드라마 연구-웹드라마의 TV드라마화, 제주 재현의 양상, PPL의 기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59권 / 39 ~ 68페이지
    · 저자명 : 허재홍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Now제주TV에서 방영된 <굿바이 데이 420>, <우리는 언제나 처음이다>, <어글락 다글락>, <청연>을 분석하는 것이다. Now제주TV는 제주방송의 산하 방송국으로, 전국으로 송출되고 있으며 육지인들에게 다양한 관광 정보를 제공한다. 제주방송은 제주도에서 사업하는 업체나 기관의 제작지원을 받아 드라마를 기획‧제작하고, 이를 Now제주TV의 웹플랫폼과 텔레비전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Now제주TV의 설립 목적이 제주 홍보인 만큼 방영되는 드라마들도 제주 홍보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Now제주TV의 드라마들은 관광홍보와 드라마의 접합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며 지방 방송국에서 자체 제작되는 드라마라는 점에서 희소한 사례다. 본고의 분석에 따른 Now제주TV 드라마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드라마를 TV드라마판으로 편집하면서 생기는 이질감들이다. 웹드라마판에서 서사에 속도감을 부여하는 생략과 우연의 기법은 TV드라마판에서는 개연성의 결여로 나타난다. 반면 옴니버스 형식이거나 개연성을 중시하여 플롯을 구성한 경우 웹드라마의 TV드라마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둘째, 주인공은 모두 육지인이며, 각 텍스트는 이들의 시선을 따라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화면에 담는다. 하지만 특정 관광지가 강조되지는 않기에 관광 홍보물로서는 부족하며, 육지인들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가운데 제주의 언어나 풍습, 삶의 모습들은 주변화되고 제거된다. 셋째, 텍스트마다 후원사의 PPL 장면들이 존재한다. Now제주TV에서 PPL은 극의 진행에 어울리게끔 배치되어 있다. 이는 기획과정에서부터 후원사가 결정되어 있어, 드라마가 PPL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Good bye Day 420>, <We are always the first>, <Uglak Daglak>, and <Cheong-yeon> aired on Now Jeju TV. Now Jeju TV is a subsidiary broadcasting station of JIBS, which is broadcast nationwide and provides various tourism information about Jeju Island for the ‘land people’ of Korea. JIBS produces dramas or through outsourcing companies with sponsors in Jeju Island, and presents them through Now Jeju TV’s web platform and television broadcasts. A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Now Jeju TV is to promote Jeju, The dramas that are aired also serve as a function of promoting Jeju. Now Jeju TV's drama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a combination of tourism promotion and drama, and are rare in that they are self-produced dramas by local broadcasting s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Now Jeju TV drama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sense of difference that occurs when a web drama is edited into a TV drama version. The technique of omission and coincidence that gives speed to the narrative in the web drama version appears as a lack of probability in the TV drama version. On the other hand, if the plot is formed in an omnibus format or If a plot is constructed with an emphasis on probability in web dramas, TV dramaticization of web dramas is naturally formed. Second, the protagonists are all ‘land person’, every text shows the beautiful landscape of Jeju following their eyes. However, Since specific tourist attractions are not emphasized, they are not enough as tourism promotional materials. While land people's storie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the language or culture of Jeju is marginalized or removed. Third, every text has PPL scene of sponsors. In Now Jeju TV, PPL is arranged to suit the progress of the plot. This is because the sponsor is determined from the planning process, so the drama is produced with PPL in mind from the begi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