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I를 활용한 웹소설 창작의 현재와 미래 -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을 중심으로 - (The Present and Future of AI-Driven Web Fiction Creation - Focusing on AI Web Fiction Creation Platforms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12
43P 미리보기
AI를 활용한 웹소설 창작의 현재와 미래 -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32호 / 199 ~ 241페이지
    · 저자명 : 박성준

    초록

    오늘날 생성형 AI는 다양한 분야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문화콘텐츠 분야 또한 마찬가지다. 생성형 AI는 영상, 애니메이션, 웹툰, 음악 등 문화콘텐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고는 이 중 웹소설, 특히 생성형 AI를 활용한 웹소설 창작 플랫폼들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웹소설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웹소설은 OSMU와 트랜스미디어의 원천 소스로서 문화콘텐츠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웹소설은 장르적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상업적이라는 점에서 ChatGPT와 같은 대량의 텍스트를 학습하여 재창조하는 거대 언어 모델 AI을 활용하기 유리한 콘텐츠다.
    본고는 먼저,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대표적인 플랫폼을 살펴보았다.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은 향유자 중심의 플랫폼과 작가 중심의 플랫폼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향유자 중심의 플랫폼은 AI를 활용하여 웹소설 향유 방식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웹소설을 쓰는 작가를 위한 것이 아닌 웹소설을 읽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작가 중심의 플랫폼은 AI를 활용하여 웹소설 창작을 돕는다. 여기서 AI는 웹소설 창작의 기획과 교정의 보조도구로써 활용되거나 직접적으로 AI가 웹소설을 쓴다. 본고는 향유자 중심의 플랫폼으로 <GPTRPG>와 <스플: 선택형 스토리>의 기능들을 살펴보고, 작가 중심의 플랫폼으로 <iMyFone ChatArt>와 <아이작 노벨>의 기능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논의하기에는 작가 중심의 플랫폼이 적합하다 보고, 『전지적 독자 시점』를 대조군으로 활용하여 <iMyFone ChatArt>와 <아이작 노벨>의 결과물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의 문제점을 크게 3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AI에게 웹소설의 세계관과 설정을 충분히 학습시키기 어렵다는 점. 둘째 AI가 사회적 코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 셋째 태그(~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 중에서 첫번째 요소는 설정집을 기입할 수 있는 충분한 템플릿을 제공한다면 빠르게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셋째 요소 또한 빠르게 한국 웹소설에서 통용되는 태그(~물)을 취합하여 창작자들이 AI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중에서 태그(~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웹소설을 전문으로 하는 AI 창작 플랫폼이 될 것이라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oday, generative AI is exerting influence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is paper focuses on web fiction creation platforms within the generative AI sector,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cultural content. web fictions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and serve as significant cultural content, functioning as source material for OSMU (One Source Multi-Us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cultural content market. Due to their genre-specific and commercial nature, web fictions are well-suited for leveraging large language model AIs, such as ChatGPT, which excel in learning and recreating large volumes of text.
    This paper first categorizes AI web fiction creation platforms into two types and examines representative platforms in each category. These platforms can be divided into consumer-centric platforms and creator-centric platforms. Consumer-centric platforms transform the way web fictions are consumed using AI. These platforms are aimed at readers, not writers. In contrast, creator-centric platforms assist with web fiction creation using AI, either as a supporting tool for planning and editing or as an autonomous author of web fictions.
    The paper explores features of consumer-centric platforms such as <GPTRPG> and <Story play>and organize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or-centric platforms like <iMyFone ChatArt> and <Isaac Novel>. And, since we believe that a writer-centered platform is suitable for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iMyFone ChatArt> and <Isaac Nobel> using the Omniscient reader’s viewpoint as a control group.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identifies three major issues with current AI web fiction creation platforms: 1) ifficulty in sufficiently training AI to grasp the intricate settings and world-building of web fictions. 2) AI’s inability to fully comprehend social codes. 3) Challenges in actively utilizing tags (e.g., genre-specific markers like “-물”).
    Among these, the first issue could be addressed by providing comprehensive templates for detailed world-building documentation. The third issue might also be resolved by compiling and standardizing widely used tags in Korean web fictions, enabling creators to integrate them into AI systems. Notably, the active utilization of tags is proposed as a distinguishing feature that could define a specialized AI platform for web fi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