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힐링(Healing)과 연관된 개념의 변천과 트렌드 동향 분석 - 웰빙(Well-being), 웰니스(Wellness), 힐링(Healing)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ransitions on Healing-related concepts and trends - Focusing on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keyword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9.08
16P 미리보기
힐링(Healing)과 연관된 개념의 변천과 트렌드 동향 분석 - 웰빙(Well-being), 웰니스(Wellness), 힐링(Healing)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4호 / 597 ~ 612페이지
    · 저자명 : 최지안, 이진민

    초록

    21세기 사회는 편리한 생활과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 있지만 오염된 환경과 다양한 질병 등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힐링을 지향하게 되면서, 다양한 힐링 문화가 모든 영역으로전파되며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힐링과 연관된 개념의 문헌과 자료수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술논문의 분야별 특성을 재정리하여 분류분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분석범위는 1996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의 KCI등재된 국내 학술논문으로 한정하여 ‘웰빙’, 웰니스’, ‘힐링’을 키워드로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웰빙, 웰니스, 힐링)의 시대적 변천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의 내용과 추세의 흐름에 관한 성향을 파악하여, 힐링 트렌드의 동향을 파악하고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웰빙’은 532편, ‘웰니스’는 573편, ‘힐링’은 229편으로 조사되었다.
    분야별 분석 결과 ‘웰빙’은 인문·사회 >예술·체육 >자연·과학>공학·기타 순으로 조사되었고, ‘웰니스’에서는 예술·체육>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기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힐링’은 인문·사회>예술·체육 >자연·과학>공학· 기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힐링과 연관된 개념들의 연구 경향이 나타났고, 2013년 이후로는‘웰니스’의 연구가 월등히 높아지고 있었다. 이는 다양한 영역의 광범위한 분야의 결합과 확대로 이어지고,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기상변화가 일상화 되는 현대에서는 친환경이 아니라 이제는 필(必)환경시대에 진입했다는 사회적 분위기로 웰니스의 모든 요소가 필수적인 힐링을 위한 기본 요소가 되고 있으며, 힐링 공간은 총체적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웰빙, 웰니스, 힐링)의 변천과 힐링트렌드 동향을 조명하고, 힐링과 연관된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21st century society is in a convenient life and material abundance, it is aimed at the ideal healing that pursues the healing and recovery of the body and mind caused by the severe stress such as polluted environment and various diseases, It is spreading and changing.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collection, and previous research on the concepts related to healing, research methods to grasp these changes and trends were reorganized and the basis of classification analysis was laid ou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content and trend flow of Healing–related concepts such as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over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onsequently reveal features of Healing trend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selected within the treatis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 KCI, registered from 1996 to 2018 by apply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with keywords: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The search result showed 532 papers found with a key word ‘Wellbeing’, 573 for ‘Wellness’ and 229 for ‘Hea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ctorial analysis, Wellbeing was surveyed in the orde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Nature and Science > and Engineering and others. Wellness was in the ordered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Nature and Science > Engineering and others. Lastly, Healing was in the orde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Nature and Science > Engineering and others. The Research trends of Healing-related concepts were observed in various disciplines, and the studies in a field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hich include Design, Interior, Beauty Art, Physical Education, Health Care and Life Health Management, was especially shown to have increas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number of studies on Wellness started to outstandingly increase since 2013. This leads to a combinatio n of diverse fields, and in modern times where environmental problems and weather change s are common, all elements of Wellness are becoming essential elements for healing. It can be seen that Healing space inseparably applied to life is transformed into a total complex cultural space pursuing essential happiness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ransitions of Healing-related concepts and Healing trends, and is sincerely hop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