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Latent Classes of End-of-life Preparation and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among Older Adults: Comparison by Age Group)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04
14P 미리보기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노년학 / 44권 / 2호 / 139 ~ 152페이지
    · 저자명 : 최봄이, 박하영

    초록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죽음 준비 유형에따라 웰다잉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실태를 유형화하고 하위유형에 따라웰다잉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연소노인(65-74세) 5,977명, 고령노인(75-84세) 3,33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610명의 세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죽음 준비는 수의/영정사진, 장지마련과 같은의례적 차원의 4문항, 교육 수강, 유서 작성 등 심리⋅사회적 차원의 2문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장기 기증 서약 등 의료적 차원의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웰다잉 인식은 스스로, 고통 없이, 가족⋅지인과 함께,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죽음을 맞는 것의 중요도의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분류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잠재계층 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소노인은상대적으로 적극적 준비도를 보이는 ‘적극 준비’ 집단과 전 항목에서 죽음 준비를 하지 않는 ‘준비 없음’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과 의례적 차원에서만 죽음 준비를 하는 ‘소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 세대에서 ‘적극준비’ 집단의 비중이 3~6%로 매우 낮았다.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연소, 고령노인이 ‘적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된 경우‘준비 없음’ 집단이나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각 항목의 중요성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이 가족⋅지인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서만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그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소노인부터초고령노인까지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수준이 여전히 낮고 의례적 차원에 국한되어 있으며, 웰다잉 인식이 죽음 준비 유형에 따라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 준비 교육 등 웰다잉 정책에서 노인 내 이질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영어초록

    Although soci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has increased, empirical evidence for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is ver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whether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vary by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nd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well-dying according to subgroups. For this, older Korean adults aged 6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5,977 young-old adults (65-74 years old), 3,333 old-old adults (75-84 years old), and 610 oldest-old adults (85 years old and above). End-of-life preparation was measured by four questions in the ritual aspect (e.g., preparing shrouds or funeral portraits), two questions in the psycho-social aspect (e.g.,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writing a will), and two questions in the medical aspect (e.g.,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ledging to donate organs). Perceptions about well-dying were measured using four item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dying autonomously, without pain, in the company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without burdening those around them.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stage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hich accounted for classification err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oung-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which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reparation, and the ‘no preparation’ group, which lacked preparation for end-of-life in all dimen sion s.
    The old-old and oldest-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which was limited to end-of-life preparation only in the ritual aspec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in all generations was very low, ranging from 3 to 6%.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perceptions of well-dying showed that among the young-old an d old-old adults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the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 preparation’ or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s. Among the oldest-old adults,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regarded end-of-life compan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as less important than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from young-old to oldest-old, remains low and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itual aspect. Furthermore, perceptions about well-dying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in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end-of-life preparation education, that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older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