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출자 박승희(1901~64)’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 시절 중 합자회사 체제 시기(1925.4~26.3) ‘고전의 현대화 상연’에 대한 고찰 -각색․연출작 ≪춘향전≫(1925)을 중심으로- (A Study of ‘Stage-Manager Bak, Sunghee(1901~64)’s Directing Style for the ‘Modernization of Classics’ at the Time of the Joint-Stock Company System(1925.4~26.3) of Towolhoe(1923~31)-Focusing on his ad)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1.05
44P 미리보기
‘연출자 박승희(1901~64)’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 시절 중 합자회사 체제 시기(1925.4~26.3) ‘고전의 현대화 상연’에 대한 고찰 -각색․연출작 ≪춘향전≫(1925)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4권 / 1호 / 7 ~ 50페이지
    · 저자명 : 성명현

    초록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조선의 신극(新劇)운동 사상 선구적인 ‘극단 운영자․극작가․연출자 박승희(1901~64)’의 극단 토월회(1923~31) 시절 중 합자회사 토월회(1925.4~26.3) 일명 광무대 직영기에 연출의 한 갈래로서 ‘고전의 현대화 상연’을 위한 무대화 작업과 그 과정에 대해 ‘각색․연출작 ≪춘향전≫(10막)’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그의 극작과 연출에서는 낭만주의 극부터 사실주의 극까지 망라하여 근대적 극형식의 가(假)신극부터 근대극 양식의 신극까지 창작 지형이 확장된 가운데 음악적 기호가 두드러졌다. 둘째, 그는 춘향전 소설류 저본(底本)의 현대화 상연, 즉 고전소설 춘향전 을 ‘근대적’ 형식의 연극으로 각색․연출하기 위하여 원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토대로 연출을 구상하고 민속학적 조사를 기초로 각색하는 방식을 실행하였다. 각색은 저본의 내용과 맥락을 그 나름대로 정리하고 체화하는 식의 편집적 글쓰기 내지 편극 방식에 기초하였다. 셋째, 그는 연극의 제 측면에서 작품의 시대적 배경에 맞게 조선의 옛 정서를 구현함과 아울러 수용적 측면에서 관객들의 정서적 소구력을 높이는 연출을 추구하였다. 그 맥락에서 미술부장 원우전을 통해 제작된 무대는 역사적 사실주의 무대 지향성을 드러냈다. 넷째, ‘현대화된 ≪춘향전≫’은 내용상 저본과 줄거리의 상동성을 유지하되 형식상 근대적인 대화극 형식에 창(唱) 과 국악패 반주 등의 음악극 기제를 첨부함으로써 창발한 일종의 악극 유형에 해당된다. 다섯째, 그는 고전의 현대화 상연을 비롯한 창작 과정에서 지배적인 연출자로서 저본 내지 희곡을 관습적으로 읽기보다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사실적으로 형상화하는 연출을 추구하였다. 또한 배우들의 실감 있는 자연스러운 연기를 위해 연습 체계와 방법론을 구축해갔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hingeuk activist and stage-manager Bak, Sunghee’s directing style in cases of the ‘modernization of the classic works’ at the time of the joint-stock company system(1925.4~26.3) of Towolhoe (1923~31), focusing on his adaptation and directing work ≪Chunhyangjeon≫ (10 Acts). I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he ranged from the romantic plays up to the realism plays in playwriting and directing.
    Furthermore, he also revealed his preference especially in the use of musical elements while expanding his own creative landscape from ‘Provisional Shingeuk’ and ‘Shingeuklike’ of the romantic theatrical style to ‘Shingeuk’ based on the realism style. Second, in ‘the modernized staging of the ≪Chunhayngjeon≫, widely of the classic novels’, he implemented a method of adapting the novel on the basis of the folkloric research, while conceivinga directing plan based o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original data of the work. In addition, the dramatization was based on the method of ‘compiled editorial writing’ or ‘editorial play’, which is to organize and concretize the contents and context of the source texts or original novel in his own way.
    Third, he oriented toward the directing of a realizing the emotional appeal of audience as well as employing the old sentiments of Chosun in aspects such as acting, costumes and stage setting. As one of examples, the stage, which was produced through the head of stage art department Won, Woojeon, exposed the ‘form of historical realism in staging style’. Fourth, his ‘modernized ≪Chunhyangcheon≫’ retained the same storyline as the original in terms of contents, while adding ‘Chang’ and ‘Gukak’(Chosun’s traditional song and music) based on the modern conversation theatre format in its formal. In this regard, his theatre ‘modernized ≪Chunhyangjeon≫’ falls into a kind of the ‘Modern Akgeuk’ and it belongs to a ‘Folk Akgeuk’ in more specific. Fifth, Bak, Seunghee promoted the systemized production as a dominant stage manager in all stage tasks. In addition, he, rather than reading the source texts conventionally, continued to establish realistic natural directing methods, independent practice systems and methodologies by interpreting and experimenting them with creative ways and new f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