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 결정 준수를 위한 정부의 대일외교 ― 헌법상 인권보호 의무 이행을 위한 중재제도를 비롯한 국제법적 조치의 활용 가능성 고찰 ― (The Korean Government's Japan Diplomacy for the Observa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30 August 2011 - A Study on the Possible Utilization of International Legal Measures including Int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2.09
44P 미리보기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 결정 준수를 위한 정부의 대일외교 ― 헌법상 인권보호 의무 이행을 위한 중재제도를 비롯한 국제법적 조치의 활용 가능성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2권 / 3호 / 235 ~ 278페이지
    · 저자명 : 신희석

    초록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가 정부가 부작위 위헌 결정을 내리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배상청구권 실현을 위하여 1965년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이하 “1965년 협정”)의 분쟁해결규정 절차를 밟을 헌법상의 의무를 확인한지 벌써 9개월이 지났다. 국제법에서 개인의 주체성이 과거보다 널리 인정되지만 분권적인 국제법 질서 하에서 국가에 의한 인권보호는 여전히 유효하며 군대성노예 피해자들의 경우, 현실적으로 정부의 외교적 보호를 통해서만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구제가 가능하다. 헌법재판소는 정부가 국제중재를 포함하여 1965년 협정 제3조에 의한 분쟁해결에 나설 헌법상 작위의무를 확인하였고 정부는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피해자들의 배상청구권 실현에 노력을 다할 책임이 있다.
    근대적 형태의 국가간 중재는 1794년 제이조약에서 시작되어 190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국제재판소가 설립된 이후로도 당사국에 상당한 재량이 주어지는 특성상 분쟁해결 방식으로 꾸준히 활용되고 있으며 여러 국제조약에서 해석 및 적용에서의 분쟁해결 방식으로 중재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국제법에서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다. 중재를 사법절차로 보는 시각과 외교절차로 보는 시각이 대립하지만 법에 의거하여 결정을 내린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으며 문제는 절차 측면에서 당사국이 중재 동의에서 빠져나갈 여지를 얼마나 허용할지에 있다. ILC는 중재절차의 사법화를 목표로 하여 중재절차 협약 초안을 준비하였으나 유엔 회원국들의 반대로 각국이 개별 조약에 자발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모델 규칙으로 초안 형식을 바꾸어 최종 채택하였으며 일단 중재에 동의하면 이는 당사국들을 법적으로 구속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다.
    국가의 인권보호는 유엔헌장에 규정되어 있으며 과거 국가의 외교적 보호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던 최소기준은 보편적 권리 개념에 입각한 것이었다. 2차 대전 이후 발전한 국제인권기구에서 국가간 청원은 개인청원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여전히 중요한 제도이며, 주요 조약의 해석 및 적용에 대한 분쟁해결 절차도 인권보호를 위하여 국가가 활용할 수 있다. 1950년 ICJ 권고적 의견의 대상이 된 Interpretation of Peace Treaties with Bulgaria, Hungary and Romania 사건에서 미국, 영국, 캐나다는 평화조약의 인권준수 조항과 해석 및 적용에 관한 중재조항을 활용하여 유엔 총회에서 중재 불응의 적법성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ICJ) 권고적 의견까지 구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1985년 뉴질랜드에서 프랑스 요원들의 그린피스 선박 폭파로 촉발된 Rainbow Warrior 사건은 당사국들에게 상당한 재량권을 부여하는 중재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과와 배상을 통한 분쟁해결을 용이하게 한 사례이다.
    정부의 헌법상 책임을 1965년 협정의 분쟁해결절차를 완료하면 끝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헌법재판소의 취지를 지나치게 좁게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피해자들이 겪은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구제와 인간존엄의 회복을 막는 장애요인을 없애기 위하여 사법적 절차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치·외교적 노력이 요구된다.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정부는 작년 12월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하였으나 일본은 외교적 해결에 응하지 않고 있다. 일본이 1965년 협정에 규정된 중재절차를 거부하는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으로 한국보다 일본에게 더 불리하며, 중재절차에 돌입하더라도 이는 외교협상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외교협상 국면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더 이상 기다릴 필요 없이 중재절차 수순을 밟아야 하며 중재 요청 공한 발송, 중재인 임명, 일본의 중재 불응시 확대 관할권(forum prorogatum)에 근거한 ICJ 제소 신청 등의 법으로 규정된 절차를 외교적으로 최대한 활용하고 유엔과 G20 등 다자외교에서도 일본의 중재의무 위반에 관한 여론을 적극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지난 5월 24일 대법원은 강제징용 피해의 경우에도 “일본의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해당되어 1965년 협정으로 청구권이 소멸되지 않았다는 판결을 내렸으며 중국 법원에서의 향후 소송 전개 가능성 등을 생각할 때 일본 정부와 기업은 전후조약을 근거로 배상책임을 계속 외면하기는 힘들 것이다. 한국 정부도 바람직한 한일 관계 구축이라는 장기적 국익을 위하여 과거보다 더 적극적으로 국제중재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양국간의 국제중재가 성사된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국내 및 국제적 입법조치가 필요할 것이며 정부는 1991년과 2011년 문화재 반환협정과 같은 방식으로 양자협정을 통한 보상방식 등까지 생각하는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접근이 헌법적 과제로서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ne year has already passed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finding of unconstitutionality for the Korean government's failure to act and confirmation of its constitutional duty to proceed with the dispute resolution method stipulated in the 1965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Problems in Regard to Property and Claims and Economic Cooperation (hereinafter, "1965 Agreement") to realize the compensation claims of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lthough the subjective personality of individuals is more broadly recognized under international law today,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by the state remains valid due to the decentralized nature of the international legal order. For the former military sex slaves, diplomatic protection by their state remains the only realistic means of remedy for their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confirmed the Korean government's positive obligation to take measures of dispute settlement under article 3 of the 1965 Agreement including international arbitration. Now it has a responsibility to effectively utilize them The modern form of inter-state arbitration came into being with the Jay Treaty in 1794 and it enjoyed its heyday in the 1900s. The importance of arbitration as an institution of international law cannot be overlooked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Court since arbitration was in steady use because of the inherent flexibility that the parties enjoy and many international treaties contain arbitral clause for the settlement of dispute concerning thei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f arbitration as a judicial or diplomatic procedure, bu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arbitral awards should be based on law; rather the problem is the degree of latitude to be given to the parties to wiggle out from their agreement to arbitrate. The ILC prepared a draft convention on arbitral procedure with the goal of its judicialization, but because of the opposition from the Meber Nations reformulated it as Model Rules for final adoption to be included in individual treaties by each state on a voluntary basis. The members of the Commission shared the view that an agreement to arbitrate is legally binding upon the state parties.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by the state is enshrined in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minimum standard employed as a yardstick for the diplomatic protection of state in classical international law was based on the notion of universal rights.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develop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inter-state complaint does not play as important a role as individual complaint, but remains a significant institution.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major treaties can also be utilized by the state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Case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Peace Treaties with Bulgaria, Hungary and Romania, which was a subject of the ICJ's advisory opinion in 1950,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made use of the human rights clause and arbitral clause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in the Peace Treaties going so far as requesting the ICJ to judge upon the legality of the refusal to arbitrate. In the Rainbow Warrior case instigated by the explosion of a Green Peace vessel in a New Zealand harbor was a fine example of the flexibility of arbitration put in use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dispute through apology and compensation.
    It would be too narrow a read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understand the Korean government's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fulfilled merely with the exhaustion of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set out in the 1965 Agreement. Rather, there is an urgent need to marshall political and diplomatic efforts to effectively utilize the judicial procedures to remove the obstacles in the realization of the remedies for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Since the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ongly urged Japan to provide appropriate remedies for the former "comfort women" particularly during the summit meeting last December, but Japan failed to respond to diplomatic resolution. If Japan refuses to follow the arbitration procedure set forth in the 1965 Agreement, it would be a clear violation of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which would put Japan, not Korea, in disadvantage. The initiation of the arbitral procedure is not the end of diplomatic negotiation but rather its new resumption in a novel stage.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waste no time in promptly instituting arbitral procedure and make maxim use of the note requesting arbitration, appointment of an arbitrator and application for proceeding at the ICJ based upon forum prorogatum as well as actively raising issues in multilateral forums such as the UN and G20 summit about Japan's violation of its obligation to arbitrate.
    On May 24,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claims regarding forced labor conscript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ere not extinguished by the 1965 Agreement as well since it also qualifies as "illegal acts against humanity committed with the involvement of Japan's state power." Given the increasing likelihood of lawsuits in Chinese courts, it will become increasingly untenable for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to shield themselves from the compensation claims with the post-war treati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 more active role in making all possible legal and diplomatic efforts including international arbitration to pursue the long-term national interest of building a desirable Korean-Japanese relationship. Even if the inter-state arbitration materializes, the ultimate solution will requir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gislative measures. It is imperative that the Korean government take as its constitutional project an active and creative approach that encompasses initiatives such as contemplating a compensation procedure based on bilateral agreements akin to the agreements on the retur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in Japan signed in 1991 and 2011.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