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의 주요 내용과 실무상 문제점, 향후 과제에 대한 小考 - 23. 11월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Essays examining the core aspects of the amended legislation,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practical challenges in its implementation, and prospective objectiv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개정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의 주요 내용과 실무상 문제점, 향후 과제에 대한 小考 - 23. 11월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22권 / 3호 / 67 ~ 90페이지
    · 저자명 : 최현정

    초록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하 “금융사 지배구조법”이라 함)은 금융회사의 경영 전반에 대해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를 부과하는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규제 법률이다.
    금융업권에 내부통제제도가 도입된 지 20여년이 경과하였으나 아직도 내부통제의 소홀로 인한 금융사고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2019년 대규모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사건이 발생하여 감독당국의 제재절차가 진행되며 지배구조법상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의 해석과 적용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논란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로 현행 금융사 지배구조법의 형식적인 규제체계 및 내부통제체계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적지 않았다. 이를 배경으로 하여 금융회사 임원의 ‘책무구조도’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법률(안)이 마련되었고, 23년 12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내부통제제도 체계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법률(안)의 논의배경 및 주요내용, 그 적용에 따른 실무상 문제점을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과제와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legislation referred to as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herein designated as the “Act,”) constitutes a fundamental regulatory framework governing the internal control mechanisms of financial entities. This statute imposes the imperative of formulating internal control standards integral to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Despite the passage of over two decades since the incep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within the financial sector, instances of financial mishaps persist due to lapses in internal control. Specifically, in 2019, a substantial mis-selling occurrence involving private equity funds transpired at a commercial financial institution, prompting the initiation of the sanctions process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y. This development engendered a pronounced dispute regarding the construal and implementation of the obligation to establish internal control standards, as stipulated by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In the aftermath of these events, a discernible degree of critical public sentiment emerged, underscoring concerns pertaining to the perceived constraints of the formal regulatory and internal control systems delineated in the Corporate Governance Act. Against this backdrop of discourse, the Corporate Governance Act, primarily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an 'Responsibility Map' for executives of financial institutions, is poised for enactment following its passage through the parliament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research undertakes an examination of the extant internal control system and its attendant challenges. Subsequently, the study delves into the context surrounding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elucidating its key provisions, and scrutinizing anticipated challenges in its implementation. The overarching objective is to probe the existing challenges and propose avenues for enhancement in the regulatory landscape.
    Given the unique features and uncertainties surrounding various terms,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is likely to spark ongoing debates about how broadly and in what ways it should be applied. To address the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se changes, it’s crucial to make legislative improvements that lay a solid legal foundation for internal control goals and principle-based regulation in the long run. This involves not only reorganizing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the internal control system but also consider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inancial sectors, such as banks, securities, insur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