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人株主會社의 경우에 있어서 理事의 善管主義義務 水準 - 2019년 9월 25일 東京高等裁判所判決을 中心으로 - (The level of Duties of a Innocent Manager in the Case of a Single-Shareholder Company - Focused on the Judicial Case at Tokyo High Court on September 25, 2019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1人株主會社의 경우에 있어서 理事의 善管主義義務 水準 - 2019년 9월 25일 東京高等裁判所判決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법연구 / 35권 / 4호 / 61 ~ 82페이지
    · 저자명 : 서성호, 정종희

    초록

    이사는 회사와의 관계가 위임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은 그 기본이 되는 선관주의의무에 기초하여 설계된 것이다(상법 제382조 제2항, 일본 회사법 제330조). 따라서 이사가 수임자로서 업무를 집행함에 있어서 선관주의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확실히 드러나는 경우에 그 책임추궁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사의 선관주의의무위반에 관한 판단은 각각 개별사안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그 위반사항이 확실히 드러나는 경우라도 책임추궁의 대상이 되는 이사가 당해사안에 대해 경영판단의 원칙을 주장하는 경우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그러므로 그간 판례는 비슷한 사안에 대해서도 결론을 달리 내리는 경우가 허다하여 이사의 선관주의의무위반에 대한 책임추궁의 가부를 일관성 있게 정리하여 해석하거나 예측하기는 실로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상황은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경우는 2001년 7월 상법일부개정을 통하여 회사설립에서부터 1인주주회사를 인정하는 법제를 마련하였고(상법 제289조), 이후 2009년 5월에는 또 다시 상법일부개정을 통하여 자본금 10억원미만인 주식회사는 소규모주식회사로 분류하여 그러한 회사는 1인 또는 2인의 이사만을 선임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를 마련하면서(상법 제383조 제1항) 이에 해당되는 회사의 경우에 이사의 업무집행과 그 결과에 따른 책임 등에 관한 특칙의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실정법상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 이를 어찌 해석해야할지 문제를 더욱 심각하고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의 경우는 다행히도 그간 위에 해당되는 회사에서 이사에 대한 책임을 직접 추궁하는 사례는 전무하다. 이에 반해 일본의 경우는 최근 상술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사건이 발생되었고, 그에 대한 판결문까지 내려지게 됨에 따라 학계로부터 주목을 받으며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위 사건과 직접 관련된 판결문을 중심으로 기타 관련 판례와 학계의 동향 등을 구체적으로 살피며 연구·검토하여 우리법제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더불어 위 시사점이 우리법제에서 해석기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함과 동시에, 상술한 입법불비점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를 입법제안하는 방식으로 결론지었다.

    영어초록

    As a director of a company's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is delega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the director's responsibility for the company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basic duty of care by an innovative manager (Obligation to perform managers with care as an innovative manager) (Article 382 (2) of the Commercial Code, Article 330 of the Japanese Company Act). Therefore, if it is clearly revealed that a director is in violation of his/her duty of care by an innovative manager in executing duties as a delegatee, the stakeholder of the company may hold such director accountable for the result thereof. In this case, the judgment on directors' violation on duty of care of an innovative manager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judging party views individual issues. Moreover, even if the violation has been clearly revealed, it becomes more complicated in case the director who shall be held accountable claims that the principle of business judgment rule shall be applied on his/her case. Accordingly, judicial precedents have often come to different conclusions on similar issues, and so it is recognized as a difficult problem to consistently organize and interpret or predict whether directors shall be held accountable for violating duty of care by an innovative manager.
    Nevertheless, in Korean case, the judicial system has made it more serious and difficult to interpret when faced with a problem under the positive law, as no special rules regarding the executive duties of directors and their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have been stipulated for the following two special judicial systems which have been adopted; the legal system established to acknowledge single shareholder company from incorporation (Article 289) by partial revision of the Commercial Code in July 2001; and allowing any corporation with less than 1 billion won in capital classified as a small corporation to elect one or two directors only (paragraph 1, Article 383) in May 2009.
    However, so far in Korean legislation, there have been no cases of directly holding any director of such company corresponding to the above new system account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Japan, cases directl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issue have recently been raised as a case, and a judgment on it has been rendered, drawing attention from academia.
    This thesis examined the above case-related judgments in Japan in detail to find out what they suggest to Korean legislation, and tried to present the incomplete points and interpretation criteria in Korean legisl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