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혁명의 주체와 역사 탈구축하기 - 박태순의 6월항쟁 소설화 방식에 관한 연구 (A Deconstruction of Revolution - Park Taesun’s Fictions of June Democracy Movemen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12
37P 미리보기
혁명의 주체와 역사 탈구축하기 - 박태순의 6월항쟁 소설화 방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6호 / 611 ~ 647페이지
    · 저자명 : 배하은

    초록

    이 글은 6월항쟁과 1980년대 민주화운동에 내재한 혁명적인 것을 발견하고 사유하기 위해서는 ‘시민 혁명’의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고, 특별히 6월항쟁의 주체와 역사를 탈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박태순이 6월항쟁 직후 발표한 중편소설 「밤길의 사람들」과 장편 연재소설 「광화문」을 분석함으로써 6월항쟁이 ‘시민 혁명’으로 단일하게 수렴되지 않는 부면을 혁명의 주체와 역사의 (재)구성 측면에서 살펴본다.
    4.19세대로서 박태순은 4.19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특유의 혁명론을 수립한다. 그의 혁명론의 핵심에는 어떤 특정한 사건으로서의 혁명이 갖는 의미와 실천이 그 다음에 오는, ‘장차 올’ 혁명에 의해 현재적으로 재구성된다는 ‘혁명의 영속성’에 대한 사유가 자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박태순은 혁명이 어떤 정치 체제의 교체로 판별되지 않고, 변혁의 시기에 분출하는 시민 혹은 인민이나 민중 등의 이름으로 호명되는 집합적 주체 안에 속한 개개인의 정치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대한 요구와 실천,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제들의 자율적인 해결 의지가 삶의 구체적인 국면으로 현전하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6월항쟁 중에서도 명동 투쟁을 소설화한 작품 「밤길의 사람들」에서는 ‘민주 시민’의 자격조차 갖지 못한 타자적인 존재들이 주권 인민의 구체적인 실존으로 출현하는 ‘혁명’의 순간을 포착한다. 이를 통해 혁명의 주체는 초월적인 집단적 주체이면서도 서로 다른 개인들의 결속체로서의 주권 인민이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행위를 실천할 때 구성되는 것으로 그려진다. 한편 6월항쟁과 그 직후를 시간적 배경으로 삼은 「광화문」에서는 4.19세대가 6월항쟁을 통해 한때 혁명의 주체였던 자신들의 지나간 삶을 성찰하며 혁명 주체의 정체성을 되찾아가는 인물들의 변화와 함께, 4.19가 6월항쟁에 이르러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재획득하고, 혁명으로서 재구축되는 과정을 서사화한다.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항쟁 직후 실패와 좌절, 미완의 혁명으로 규정되었던 6월항쟁 역시 마찬가지로 ‘장차 올’ 또 다른 혁명을 통해 재전유될 것임이 시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construct the ‘Agent’ and the ‘History’ of revolution, especially of June Democracy Movement in order to problematize the ideologically constructe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pro-democracy movement in 1980s. Park Taesun’s fictions “Pamgil’ŭi Saramdŭl(People Wandering at Night)”(1988) and “Gwanghwamun”(1989) capture a few significant scenes of disheveling the tapestry of the citizen’s victory in June Democracy Movement. In the scene of Myeongdong struggle, the minorities who are not eligible for the citizen’s right come into existence with the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Gwanghwamun” setting in the time right after June Democracy Movement narrates the story of those who once participated in April revolution in 1960 but failed and lost their revolutionary spirit. The narrative of the metamorphosis of the 4.19 generations is symmetrically juxtaposed with the reconstruction of revolution.
    In carrying out this deconstructive approach to revolution in the fictions, Park draws upon the distinctive epistemology of revolut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 of 4.19. In fact, he has an idea and belief that revolution lasts perpetually; that is, a revolutionary event does not end simply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or a regime, but continues in the whole and broad history of revolution. And, indeed, after 30 years, June Democracy Movement, which was widely considered as the milestone of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has been deconstructed by Candlelight Revolution in 2017 of the minorities and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