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Value and Prosect of individual diary as research materials : Based on the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5.10
58P 미리보기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록학연구 / 46호 / 95 ~ 152페이지
    · 저자명 : 최효진, 임진희

    초록

    일상아카이브란 ‘보통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구체화, 범주화하여 이에 따라 개인이나 공동체, 더 나아가 한 사회의 기억과이를 담은 기록물을 수집, 평가, 선별, 보존하는 조직이나 시설, 장소를 말한다. 일기를 비롯해 자서전, 회고록, 편지, 메모 등실물자료와 온라인 공간에서 주고받는 블로그나 카페 게시물, SNS에 업로드되는 일상의 사진도 여기에 속한다. 이렇게 매 순간 생산되는 일상기록의 수집과 보존에 관한 필요성이 기록학계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기는 시대를 불문하고 한 개인이 매일같이 경험한 사실과 자아성찰 등을정리한 글로서 기록의 원천성과 개별성, 유일성 등의 가치가 크게 중요시 되고 있다. 최근 여러 편의 일기들이 발굴, 소개되면서 역사학을 비롯해 다양한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일기와기록주체, 생산된 시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또한 언어학, 교육학,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는 일기에서 관찰되는 언어습관, 문화수용양상, 저자의 감정이나 심리변화 등을 분석한다. 이 글에서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지는 일기 관련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이 맥락에서 일상기록으로서 “5월12일 일기컬렉션”이 갖는 의미를 찾는다.
    “5월12일 일기컬렉션”은 매년 5월12일 시민들이 직접 생산, 기증한 일기로 구성되어 있다. 명지대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가2013년 첫 ‘5월12일 일기수집 이벤트’를 개최한지 3년이 되는 현재 유치원생부터 80대 참가자들이 육필 (그림)일기, 전자문서, 디지털사진/영상, 음성녹음 등 다양한 유형으로 생산된 일기가 2천여 건 수집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일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개별 기록물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가족, 친구, 학교생활, 진로고민 등 연령별 지역별 직업별로 시민들의 생활상과 진솔한 고민을 읽을 수 있다. 개별 기록물에서 추출되는 키워드와 주제어에 따라 이 일기들이 담고 있는 주제를 더욱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집된 일기들을형식과 내용에 따라 연구자료로 언어학, 교육학을 비롯해 역사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그 연구 가능성을 제언해본다. 그리고 “5월12일 일기컬렉션”이 일상아카이브로서 수집, 보존되기 위해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영어초록

    “Archives of Everyday Life” refers to an organization or facility which collects, appraises, selects and preserves the document from the memory of individuals, groups, or a society through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lives and cultures of ordinary people. The document includes materials such as diaries, autobiography, letters, and notes. It also covers any digital files or hypertext like posts from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or photos upload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Many research fields including the Records Management Studies has continuously claime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ordinary people’s records on daily life produced every moment. Especially diary is a written record reflecting the fact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nd his self-examination. Its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are considered truly valuable as a document regardless of the era. Lately many diaries have been discovered and presen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communities, and diverse researche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 have embarked more in-depth research on diaries, their author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Furthermore, researchers from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and psychology analyze linguistic behaviors, status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emotional or psychological changes of an author.
    In this study, we are conducting a metastudy from various research on diaries in order to reaffirm the value of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as everyday life archives.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consists of diaries produced and donated directly by citizens on the 12th May every year. It was only 2013 when Digital Archiving Institute in Univ. of Myungji organized the first “Annual call for the 12th May”. Now more than 2,000 items were collected including hand writing diaries, digital documents, photos, audio and video files, etc. The age of participants also varies from children to senior citizens.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will be made on the diaries collected as well as more profound discoveries on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item. It is not difficult to see stories about family and friends, school life, concerns over career path, daily life and feelings of citizens ranging all different generations, regions, and professions. Based on keyword and descriptors of each item,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will be further made.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suggestions to examine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of these diaries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or humanities considering diverse formats and contents of diaries. Finally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necessary tasks and challenges for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to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preserved as Everyday Life Arch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