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베이 스피리트 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피해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취약성 변수 - 사고 후 2008년 9월과 2010년 10월 시점의 패널자료 분석 (Variation of Vulnerabili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Residents Due to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 Analysis of panel data after the accident in Sep, 2008 and Oct, 201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6
32P 미리보기
허베이 스피리트 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피해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취약성 변수 - 사고 후 2008년 9월과 2010년 10월 시점의 패널자료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ECO / 15권 / 1호 / 53 ~ 84페이지
    · 저자명 : 이정림, 김도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사고의 심리적 충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PTSD 증상여부를 통해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지역주민들에게 미친 심리적 피해와 그 심리적 피해의 취약성변수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년의 시차(2008년 9월과 2010년 10월)를두고 태안주민들을 상대로 조사한 PTSD 패널 통계자료를 이용했다. 조사결과첫째, 사고 이후 발생한 PTSD 증상으로부터 주민들의 회복속도가 더딜 뿐 아니라2010년 10월 조사에서는 새롭게 PTSD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상당수 있음을알 수 있었다. 둘째,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데 있어 성별, 배우자유무,피해노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변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배우자가 없는 응답자 보다는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 피해노출 수준이 낮은 응답자보다는 피해노출 수준이 높은 응답자, 사고 후 신체적 건강피해가 없는 응답자보다는 건강피해가 있는 응답자가 PTSD 증상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피해노출 수준이 심리적 피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고 초기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성별(남성)이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가부장적 문화로 인해 남성들이 가구의생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더 크게 느낄 뿐 아니라, 사고 관련 각종 회의와 복잡하고답답한 손해 배·보상 과정에 주로 참여하면서 여성보다 억울하고 부당한 상황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사회자본과 같은집합적 자원이 PTSD 증상을 완화하는데 통계적으로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만큼 이번 사고가 주민들의 삶을 압도하는 사고였다는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재난복구의 지연으로 집합적 자원이 복구되지 못했다는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현재 태안주민들이 경험하고있는 심리적 피해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기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damage which affected the residents the variation of vulnerability of such damage due to the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Choongnam on 7 Dec 2007 by checking the symptom of PTSD which directly shows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hock. For the purpose, statistical data of PTSD panel which examined the residents as subjects for 2 years (Sep, 2008 to Oct, 2010)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could be known that the rate of recovery of the residents’ PTSD symptom which occurred after the accident was not only slow, but also, there was considerable number of residents who newly complained of PTSD symptom in the Oct, 2010 investigation. Second, in regards to maintenance · increase of PTSD symptom, affecting variations showed as gender, marital status, level of exposure to damage,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in the greatest order.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respondents were more vulnerable than the latter to PTSD symptom as follows; male than female, those with spouse than those without one, those with high exposure to damage than those with lower exposure, and those with damage to health than those with no damage. Such result is different to early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the level of exposure to damage had crucial effect on psychological damage. Especially, in the research, gender (male) applied as the greatest factor in maintaining · increasing PTSD symptom. Such seems to be the outcome of not only male’s greater feeling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towards household and livelihood due to patriarchal culture, but also, the high frequency of direct exposure to more depressive and unfair situation than female while mainly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related to the accident and the complicated and uneasy procedure of compensation. And, it showed that collective resource such social capital did not have statistically special effect on reliving PTSD symptom. Such presents that the accident was something which overwhelmed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simultaneously, that such collective resource did not recover due to delay of disaster recovery plan. Viewing the study result in general, the psychological damage the residents of Taean are experiencing is not something which can be cured through time, but has a possibility to extend over a long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O”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