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淵翫月>에 표현한 退溪의 和悅 연구 (Toegye’s pleasure expressed in Cheonyeonwanwo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lt;天淵翫月&gt;에 표현한 退溪의 和悅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6호 / 139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병권

    초록

    퇴계(退溪) 선생은 학문에서 이(理)를 추구하는 것을 귀하게 여겼으며 마음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다. 그리고 산과 물의 자연이 마음에 주는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짓는다고 하였다. 이렇게 시에 표현한 즐거움은 자연에서 구하여 얻은 즐거움이라고 볼 수 없고, 자연이 스스로 준 즐거움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자연이 준 즐거움은 인욕(人欲)에서 구하는 즐거움이 아니며, 천리가 주는 즐거움이다. 나아가 완전한 즐거움은 인욕이니 천리니 하는 경계에서 벗어났을 때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퇴계의 <천연완월(天淵翫月)>이다. 이 시의 내용은 “한 점 먼지라도 마음에 끼었다면 밤마다 새로워지는 이 대의 달을 보소. 쇄락하고 청진한 저 경지를 모두 잡아 속된 인연 끊어버린 유인(幽人)에게 맡겼다네.”이다. 이 작품에서 마음에 낀 먼지는 사사로운 욕심인 인욕(人欲)이며, 밤마다 새로워지는 달은 유행이 활발한 자연의 이치이며 천리이다. 쇄락하고 청진함은 천리가 실현된 경지이며, 인욕을 버린 청정한 마음을 상징한다. 속된 인연은 현실 세계에 살면서 인욕을 이루려는 것이다. 유인(幽人)은 자연에 은둔해 세상의 인욕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며, 시적 화자인 퇴계 자신이다.
    그래서 <천연완월>은 자연의 이치인 천리가 은둔해 있는 퇴계에게 스스로 준 즐거움을 표현한 작품이다. 퇴계는 이런 즐거움을 통해서 마음의 인욕을 없앤 천리의 본연을 추구하는 학문이 순천화열(順天和悅)하는 이상세계를 실현한다고 독자에게 전해준다.

    영어초록

    Toegye stated that the pleasure derived from nature itself spontaneously led him to compose poems. The pleasure expressed in Toegye’s poems was one that cannot be attained through exploration but from spontaneity. This pleasure does not come from human avarice but from natural law. By extension, nature can offer sheer pleasure to people if they become free from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varice and natural la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 Toegye’s poem, titled Cheonyeonwanwol. In this poem, a person’s mind covered with dust is likened to personal avarice, whereas the moon, which renews itself every night, symbolizes actively changing nature. Clearness and trueness represent perfection achieved in natural law, which is likened to a person’s mind without any avarice. Also, pursuing secular bonds in the mundane world is to seek human avarice. In the poem, a recluse stands for a person free from worldly avarice, mirroring the poetic narrator, Toegye himself.
    In sum, Cheonyeonwanwol expressed the pleasure that Toegye, who lived in seclusion, derived from natural law. Ultimately, Toegye teaches readers a lesson that individuals should throw away their avarice and discipline themselves, keeping away from secular bonds, in an attempt to seek natur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