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田 月坪山城의 築城 主體와 位相 (Wolpyeongsanseong Fortress in Daejeon : Its Status and Who Built I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6.02
25P 미리보기
大田 月坪山城의 築城 主體와 位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63호 / 39 ~ 63페이지
    · 저자명 : 이한상

    초록

    이 글은 대전 월평산성 발굴조사의 성과를 현 시점에서 재검토해본 것이다. 월평산성이란 현재 대전시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월평동산성과 그에 인접해 조사된 월평동유적을 아울러 표현한 것이다. 월평동유적에서 검출된 방어시설로는 목책①과 ②, 석축성벽①과 ②가 있고 월평동산성은 지표 및 시굴조사 결과 문지와 성벽, 고대지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글에서 주안점을 둔 것은 여러 시기의 방어시설을 누가 축조하고 운용한 것인지, 각 시기별로 이 성의 위상은 어떠했는지 하는 점이다.
    첫째, 월평산성에서 검출된 방어시설 가운데 이른 시기에 속하는 것은 목책①과 ②이다. 조사범위에 한정한다면, 목책①은 능선 서남쪽으로부터의 공격에, 목책②는 동쪽으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출토 유물로 보면 5세기 후반 이후로 편년할 수 있다. 목책①은 호에서 출토된 토기로 보아 설치 주체를 백제, 목책②는 구조나 입지 등으로 보아 고구려로 볼 수 있다. 고구려가 방어에 취약한 대전 월평동까지 선상으로 남진한 것은 백제의 수취원을 빼앗는 한편, 백제와 신라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둘째, 월평산성에서 검출된 방어시설 가운데 석축성벽①과 ②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석축성벽①은 석축 기초를 만들면서 나무기둥을 세웠다는 점에서 고구려적 요소를 지닌 것으로 보이지만, 사비기 유물이 출토되는 원형수혈과의 중복관계로 보아 6세기 중엽 이전으로 연대를 올려보기는 어렵다. 석축성벽②는 내외 2겹으로 쌓은 것이며 북쪽에서 석축성벽①과 교차하며 그 위를 지나간다. 월평동산성은 유물과 성벽의 구조로 보아 7세기를 전후하여 축조된 것이다.
    백제가 월평산성에 석축의 방어시설을 축조한 시점은 신라와의 관계가 악화된 553년 이후이고 그 직전에는 대규모 저장시설을 갖춘 병참기지로 유지된 것 같다. 월평동산성은 규모면에서 보면 대전지역에서 작은 편이 아니며 축성에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구현되어 있다. 막새는 출토되지 않았지만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산성 본연의 기능에 더해 현의 치소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surveys conducted on Wolpyeongsanseong Fortress in Daejeon, which includes Wolpyeongdongsanseong Fortress designated as a Daejeon monument and a nearby archaeological site in Wolpyeong-dong. The paper focuses on those who built and utilized the fortress and its rank throughout history.
    First of all, the wooden fence stakes ① and ② belonged to defense facilities that were built in an earlier period. The unearthed relics date back to the late 5th Century. The wooden fence stakes ② was a defense facility built and operated by Goguryeo (circa 37 BC – 668 AD). It is presumed that a defense system was set up during the Goguryeo Dynasty in Daejeon to regain the territories taken during the Baekje Dynasty (18 BC-660 AD) in the south and to interrupt the coalition against it between Baekje and the Silla Dynasties (57 BC- 935 AD).
    Parts of it, like stone walls ① and ②, were built and operated Baekje. It is presumed that Baekje built such a defense facility in or about 553, when its relationship with Silla worsened, and then the Wolpyeongd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It is speculated that the facility was earlier used as a military logistics base. As for the size, and compared to other facilities in Daejeon, the fortress was a large facility and displays an advanced knowledge in construction. A large number of roof tiles found in the area cause researchers to speculate that it was also the site of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 where locals in the areas along the Gapcheon Stream served as offic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