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학전문대학원의 과목구성과 상사법 교육의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ercial Law and Corporate Law Education for the Curriculum of Law School)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7.05
39P 미리보기
법학전문대학원의 과목구성과 상사법 교육의 발전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법연구 / 36권 / 1호 / 99 ~ 137페이지
    · 저자명 : 안성포

    초록

    로스쿨 도입의 핵심적인 취지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의한 법조인의 양성에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필수과목과 변호사시험과목 등에 수강을 집중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3년의 재학기간 중에서 실제 자신의 전공이나 관심분야를 반영하여 선택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여력은 거의 없다. 학생들은 변호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 입학하였고, 실제 합격 여부가 학생의 진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수강신청은 학부 전공이나 특성화에 관계없이 변호사시험 과목에 집중되고 있고, 학교의 모든 역량도 변호사시험 합격률을 높이는데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교육을 통한 법조인 양성이라는 로스쿨 제도의 도입취지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의 변호사시험처럼 합격점수를 정해놓고 그 점수 이상만 얻으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렇게 되면 학생들도 변호사시험을 염두에 두고 수업을 택하기 보다는, 본인의 관심분야나 앞으로의 진로를 생각하여 과목을 택하여 전문적이고 다양한 법학교육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변호사법에 의하면 로스쿨 졸업생은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후 통산하여 6개월 이상 법률사무종사기관에서 법률사무에 종사하거나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주관하는 연수(4월~10월)를 마치지 아니하면 단독으로 법률사무소를 개설하거나 법무법인, 법무법인(유한) 및 법무조합의 구성원이 될 수 없다. 이처럼 우리나라 로스쿨은 완성된 법조인을 양성하는 곳이 아니라, 판사, 검사, 변호사가 되기 위한 예비 법조인을 양성하는 곳이다. 따라서 로스쿨에서의 상사법 교육방향은 예비 법조인을 위한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로스쿨의 상사법 교과과정은 예비 법조인을 대상으로 법률가처럼 생각하게 하는 법적사고 방식을 바탕으로 법응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구체적인 사건에 어떤 법조문을 적용하는 것인지, 그와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사건과 현상을 분석, 이해하고 그 결과를 법적으로 평가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곳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introducing the Law School System is to establish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judicial officer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of students being pre-occupied with mandatory subjects and lawyer qualification test related courses, it becomes difficult to integrate selective courses based on individual’s major and academic interest during the three years of Law School attendance. As for the students, the primary goal upon entrance has become to pass the lawyer qualification test since this will ultimately determine their career. Course selections are no longer based on undergraduate major or specialty as students are focusing more on lawyer qualification test related courses while the schools are also primarily focusing on increasing the overall passing rate for the lawyer qualification test. The current situation is conflicting of the original purpose in introducing the Law School System for the jurist training through rigorous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challenge, we suggest adopting the United States’ lawyer qualification examination method by having a set passing score which would enable those who passed this set score to become licensed. This approach will allow students to select courses based on field of interest and future career path, and lead to the restoration of a professional and varietal Law School education system.
    Meanwhile, according to the Attorneys-at-Law Act all Law School graduates upon passing the lawyer qualification test are required to carry out a 6 month mandatory training. The 6 month lawyer training was introduced by the amended Attorney-at-Law Act as follows: ① engagement in legal affairs or training at the ‘agency engaging in legal affairs’ designated by Ministry of Justice ② completion of training conducted by Korean Bar Association (in between April ~ October).
    When a person who passed the lawyer qualification test fails to fulfill the above 6 month training requirement by engaging in legal affairs or completing the Korean Bar Association training, he/she is restricted from jointly or individually accepting any case.
    In this country Law Schools are fostering the judge, prosecutor, lawyer – to –be rather than the completed end result of a jurist. Hence, commercial law within the Law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ustomized to align to the educational needs of a jurist-to-be. Cultivating legal application capability based on jurist like legal thinking should be the primary focus. Law Schools ne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platform that cultivate continued development of ability to apply appropriate legal provisions for specific cases and also, analyze and comprehend various social cases and situations from a legal assessment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