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樂壽亭 鍾과 圓淸寺 鍾의 造成과 流轉 (The Creation and Migration of the Naksujeong Bell and Enseiji Bel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樂壽亭 鍾과 圓淸寺 鍾의 造成과 流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73호 / 255 ~ 282페이지
    · 저자명 : 진정환

    초록

    이 논문은 낙수정 종이 후백제 시기에 조성되었다는 기존 논문에서 제시한 논거를 보완하고, 간략하게 다뤘던 낙수정 종과 엔세이지 두 종의 제작이 갖는 함의가 무엇이고, 원위치와 그곳의 성격을 추가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또한, 이 두 종이 언제, 그리고 어떤 이유로 원위치를 떠나게 되었는지 추적하였다.
    그 결과, 10세기 초 후백제 왕도인 전주에서 신라 왕실 발원 종의 전통을 잇는 낙수정 종과 엔세이지 종은, 견훤의 정체성이 ‘통일의 완성자’이면서 ‘신라의 대체자’로 변화했음을 보여주는 상징물이었다.
    이 두 종은 모두 원위치인 전주를 떠나는 비운을 맞았다. 두 종 중 먼저 전주에서 반출된 것은 엔세이지 종이었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의 전주회의에 참석했던 모리 다카마사가 이 종을 약탈하였다. 이후, 모리 다카마사는 1600년 내전 당시 후쿠오카의 다이묘 쿠로타 요시타가에게 종을 빼앗겼다. 최종적으로 쿠로타家의 가신 쿠리야마 토시야스가 창건한 엔세이지에 봉안되었다.
    낙수정 종은 좀 더 오랜 시간 동안 전주에 머물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전주의 토호이자 친일인사였던 박영근이 사이토 총독에게 이 종을 바쳤고, 사이토는 다시 후쿠오카의 스이조우인에 기증하였다. 이로써, 330여 년의 시차는 있지만, 일본 후쿠오카에서 운명처럼 두 종은 재회하게 되었다. 일본에 있던 두 종 중, 낙수정 종만 우여곡절 끝에 1999년 전주로 되돌아왔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expand upon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the Naksujeong Bell was created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Additionally, it explor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both the Naksujeong and Enseiji Bells, their original locations, and the contexts surrounding their creation. It further investigates the circumstances and motivations behind their eventual removal from their original sites.
    The study reveals that the Naksujeong and Enseiji Bells, crafted in the early 10th century in Jeonju — the capital of Later Baekje — symbolize Gyeon Hwon's evolving identity, transitioning from the ‘Completer of Unification’ to the ‘Successor of Silla.’ Both bells ultimately experienced the fate of displacement from Jeonju. The Enseiji Bell was the first to be remov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7 (Cyclical Year Jeongyu). Mori Takamasa, who participated in a military council in Jeonju, plundered the bell. However, in 1600, during a civil war, the bell was seized by Kuroda Yoshitaka, the daimyo of Fukuoka, and eventually installed at Enseiji Temple, established by Kuroda's retainer, Kuriyama Toshiyasu.
    In contrast, the Naksujeong Bell remained in Jeonju for a longer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ark Yeong-geun, a pro-Japanese collaborator and influential local figure, presented the bell to Governor-General Saito. Saito later donated it to Suijō-in Temple in Fukuoka. Despite a time gap of over 330 years, the two bells were serendipitously reunited in Fukuoka, Japan. Among the two bells, only the Naksujeong Bell returned to Jeonju in 1999 after a long and eventful journ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