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정기 창경원의 전통공연장으로서의 활용과 그 의의 (Changgyeongwon a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tage under US Occupation: Key Events and Implication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11
35P 미리보기
미군정기 창경원의 전통공연장으로서의 활용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30호 / 67 ~ 101페이지
    · 저자명 : 최희영

    초록

    본 연구는 해방 직후 미군정 시기에 창경원에서 개최된 전통공연이 수반된 시민을 위한 문화 행사의 구체적 내용 및 그 의의를 고찰한다. 이 시기에 궁을 배경 무대로 한 일련의 행사들이 개최되면서 궁 공간이 시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 향유 공간으로 변모되어 나갔다. 그중에서도 창경원은 일제강점 초기부터 식민지 한국인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일제 식민당국이 조선왕조를 상징하는 궁의 가치를 하락시켜 근대화의 상징으로 탈바꿈한 공간이었다. 해방 후 창경원 내 공연 행사인 꽃놀이 축제, 전국민속예술공연대회, 애국지사 위안대회, 서울 종로국민학교 재건기금마련행사, 소싸움 축제에서 선보여진 공연 프로그램은 다양한 장르의 전통공연으로 대중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특히 농악, 가야금 병창, 단가, 창극, 민요, 줄타기, 농악, 탈춤 등 민속 예술인들의 활약이 돋보이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창경원 꽃놀이 축제 무대에 올려진 전통문화 장르가 아악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미군정기 창경원이 민속악 위주의 다양한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공연장으로 활용되었음을 밝히고 그 배경에 새롭게 건설된 국가의 민족 문화 확립에 자신들의 음악을 포함시키려는 전통예술인들의 욕망과 함께 일제와 차별되게 다양한 민속문화를 공연물에 포함시켜 폭넓은 범위의 대중을 위한 공간으로 창경원을 활용하여 국민 위안과 통합 요구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강조한 미군정청의 정치 선전 의도가 담겨 있음을 논증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cultural events accompanying musical performances at Changgyeongwon during the era of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945-1948 (hereafter, USAMGIK), with a focus on features of the events and their implications.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a variety of events were hosted at the royal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Changgyeonggung Palace, among them, had been transformed into an amusement park for the general public─with its new name, Changgyeongwon─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The colonial authorities were boastful of the ‘modernized space’ established by lowering its original value representing the long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From 1946 to 1947, there were five different types of public events at Changgyeongwon, where the general public appreciated a wide rang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t is noteworthy that folk entertainers and musicians often participated in such events, while colonial-era traditional performances shown at Changgyeongwon Cherry Blossoms Festivals were exclusively court music. As this study argues, the utilization of Changgyeongwon as a stag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cluding both court and folk culture) reflects the desire of artists from different musical circles to include their own music in the post-colonial nation-(and national music)-building project and the USAMGIK’s political agenda leaving a positive image to the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