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민사배심원재판 제도의 제도적 배경과 시사점 (The Institutional Backgrounds and Implications of the American Civil Jury Trial)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12
50P 미리보기
미국 민사배심원재판 제도의 제도적 배경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46호 / 146 ~ 195페이지
    · 저자명 : 권혁재

    초록

    미국 민사배심원단재판 제도는 국민들의 자기지배체계의 중요한 도구이자 국가 권력에 의한 사법권 남용 위험성에 대한 중요한 견제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민사배심원단재판 제도는 분쟁 내용에 대한 판단과정에 있어서 직업법관이 아닌 일반인의 사회적 정의 관념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제도적 우월성을 발휘하고 있다. 민사배심원단재판 제도야말로 미국의 민주주의에 있어서 가장 핵심을 이루는 제도라고 할 수 있으며, 미국의 현존 제도 중에서 주권자 국민의 자유로운 투표권 행사와 더불어 본질적 측면에서의 비판이 허용될 수 없는 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성공은 배심원단의 평결이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보편적 가치와 문화를 적절히 반영하여 온 결과 소송당사자와 일반인들의 기대를 상당한 정도로 충족시켜 왔고, 그 사실관계의 판단능력과 관련하여 직업법관들로부터도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소송당사자들에 대한 절차보장원칙의 충실한 이행이라는 점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민사배심원단재판 제도의 위와 같은 성공에도 불구하고 다른 측면에서는 배심원단재판을 받는 소송당사자들이 부담하여야 하는 고액의 소송비용과 절차 지연 문제로 인하여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판단능력이 요구되는 사건에서 주로 법률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판단능력 미숙 등을 이유로 하여 제기되는 비판론 역시 일면의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민사배심원단재판의 문제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모두 살펴보고 그 개선점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형사재판에서 미국의 배심원단재판을 일부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는 국민 참여재판 제도 시행 10년이 경과한 현재의 시점에서 동 제도는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 강화 등의 점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법정 중심의 투명한 재판 활성화, 전관예우나 무전유죄 등 논란 해소, 사법부와 국민과의 소통 강화 등을 통한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사법부 자체의 평가일 뿐만 아니라, 실무계의 일반적 평가라 할 수 있다. 형사재판에서의 위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민사재판에서도 헌법을 비롯한 현행법의 유연성 있는 해석을 통하여 배심원단재판 제도의 부분적인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한 후에 조기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사법권의 독립은 국가권력의 부당한 간섭으로부터의 독립뿐만 아니라 여론으로부터의 독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다양한 출신성분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에게 민감하면서 사회적 이슈화된 분쟁 사안의 사실관계 확정 기능을 맡김으로써 직업법관의 재판 결과에 대하여 불만을 가진 세력화된 집단이나 개인으로부터 사법부의 판결에 대한 왜곡된 비난 여론의 형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보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에 직업법관의 판단보다는 분쟁당사자와 같은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가진 일반인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적절한 사건도 배심원단재판을 통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American civil jury trial system performs a crucial role as a tool enabling the people’s self-governance and keeping the judicial power in check to prevent its abuse by the state power. The institutional superiority of the civil jury system lies in the fact that it involves ordinary people, instead of a career judge, and their concept of social justice in making a judgment on disputes. The system forms the essence of American democracy, and along with the free exercise of voting rights by sovereign citizens, it is an institution which does not allow criticism from fundamental perspective. The success of the civil jury system arises from (a) the verdict of the jury, which has traditionally reflected universal values and cultures of the community in a proper way, and thereby considerably living up to the expectations of litigants and general public; and (b) from the jury's ability to make a right judgment on the facts, which is highly evaluated by professional judges. The strength of the civil jury system is also ascribed to its faithful implementation of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for litigants.
    In spite of such successful aspects, the system is under severe criticism as well for expensive legal fees on the part of litigants subject to civil jury trials and repeated delay in litigation. The dissents of the jury system also point to the inability of jury in cases requiring highly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render a sound judgmen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system must be examined in reviewing the problems of the civil jury trial in order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civil participation in Korean criminal trials, which has produced tangible results, including enhancement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judiciary. The judiciary as well as legal practitioners evaluate that the jury trials promote public confidence in the judiciary by (a) maintaining transparency of a court-based trial, (b) resolving controversies arising from giving special privileges to those who previously held a high post and unfair treatment of the poor, and (c) reinfor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judiciary.
    These positive outcomes produced by the jury system in criminal trials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jury system in civil trials as well, at least partially, by flexibly interpreting the current laws including the Constitution. The adoption of the civil jury is a pressing matter, as it correlates to the judicial independence in a modern society from the unjustified intervention by the state power as well as from the media. Composed of people from different origins and backgrounds, the civil jury, which is entrusted with the power to make conclusive determination on the facts charged in highly sensitive and socially-debated cases, can prevent distortion of public opinion by influential groups or individuals who are extremely dissatisfied with the decisions rendered by professional judges. In addition, there are cases that are more suited to jury trials, where the general public sharing the sam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with litigants decides on the facts of the case, instead of professional jud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