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Safety Threat Experiences of Firefighters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09
21P 미리보기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18호 / 109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은숙, 김대란

    초록

    본 연구는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소방대원들이 소방 활동 중 경험하는 안전 위협의 속성과 본질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소방대원들에게 있어 안전 위협의 의미를 공감하고 이들의 안전 위협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보다 안전한 정서적 및 물리적 환경에서 현장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1년 2월 8일부터 2021년 3월 25일까지이며, 연구 참여자는 경력 5년 이상~15년 미만의 안전 위협을 경험한 현재 현장 활동 중인 소방대원으로, 화재진압대원 7명, 구조대원 5명, 구급대원 6명이다. 참여자들이 원활한 상호작용으로 연구 목적에 맞는 풍부한 토론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화재진화를 주 업무로 하는 화재진압대원, 구조 활동을 주 업무로 하는 구조대원, 구급 활동을 주 업무로 하는 구급대원의 업무 분야별로 구분하여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6개의 하위범주(sub-category)와 10개의 범주(category)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2개의 차원(dimension)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2개의 차원은 ‘안전 위협 경험의 의미’와 ‘안전 위협 대처 방안’이다. 안전 위협 경험의 의미 차원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한 사고 현장으로 내몰림’, ‘엄습하는 공포를 억누르고 삶과 죽음의 경계 속으로 홀로 들어감’, ‘예기치 못한 아찔한 순간에 무방비로 던져짐’,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기최면으로 버텨냄’, ‘영웅 이미지로 내재화된 숙명’, ‘위험했던 돌발사고 경험이 강렬한 잔상으로 남아있음’, ‘생사를 넘나드는 아찔한 사고 경험이 일상에 투영되어 나타남’의 7개 범주가 나타났다. 안전위협의 대처방안 차원에는 ‘개인적 측면에서의 대처’와 ‘동료와의 관계를 통한 대처’, 그리고 ‘조직적 차원에서 요구되는 대처’의 3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소방대원들의 소방 활동 중 경험하는 안전 위협의 속성과 본질을 드러내고 안전 위협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여자들은 소방현장 활동 중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경험에 노출되면서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안전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 및 협력과 신뢰에 기반 한 동료와의 교류를 통해 안전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었으며, 조직적 차원에서 필요한 대처 방안에 대해서도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the safety threat experiences of firefighter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the properties and essentials of safety threat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during firefighting activities in order to empathy for the meaning of safety threats and provide basic necessary data to resolve their safety threats. Ultimately, it is intended to help firefighters to work in a safer environment emotionally and physically.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8, 2021 to March 25, 2021,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irefighters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who had experienced safety threats of 5 years or more and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cluding 7 fire suppression workers, 5 rescue workers, and 6 paramedics. In order for participants to create suitable discussion conditions with intensive interactions, firefighters whose main tasks are fire extinguishing, rescue workers whose main tasks are rescue activities, and paramedics whose main tasks are emergency activities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separately.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6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which could b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The two dimensions are 'meaning of safety threat experiences' and ' coping strategies to safety threats'. There were seven categories of meaning of safety threat experiences: ‘dangerous accident scene in uncertain situations’, ‘suppressing the overwhelming fear and entering alone into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thrown unprotected in unexpected dizzing moments’, ‘enduring the situation with self-hypnosis in unavoidable situations’, ‘destiny embodied in the image of a hero’, ‘a dangerous accident experience that remains an intense afterimage’, ‘a dizzying accident experience in which life and death are unclear is projected into everyday life', In terms of coping strategies to safety threats, three categories were included: 'dealing from the personal side', 'dealing through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dealing requir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roperties and essentials of safety threat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during firefighting activities and suggested countermeasures against safety threats. Participants have showed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al responses while exposed to various safety threatening experiences during firefighting activities, nevertheless they have developed safety capabilities through personal efforts, cooperation, and exchanges with colleagues based on trust, and suggested various alternativ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