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place Flexibility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9
18P 미리보기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벤처혁신연구 / 6권 / 3호 / 185 ~ 202페이지
    · 저자명 : 장욱진, 이상직

    초록

    코로나19팬데믹을 기점으로 근무방식의 전면적인 변화와 직장 유연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업원들이 근무장소와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근무제도에 대한 연구가 많은 반면 보다 넒은 의미에서의 직장 유연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본 연구는 정보통신 서비스 산업과 제조 산업의 외국계 기업과 국내 상위 50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300명을 대상으로 직장 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했다. 직장 유연성을 양적 직장 유연성과 질적 직장 유연성으로 구분하여 연구 변수를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직장 유연성의 유형 중 근무 장소, 근무 연속성과 질적 직장 유연성을 의미하는 업무 자율성과 팀워크의 경우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적 직장 유연성 유형 중 근무 시간의 경우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직장 유연성이 양적 직장 유연성에 비해 조직 몰입도 미치는 영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직장 유연성을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이다. 실무적으로는 질적 직장 유연성 확보를 위해 업무 자율성과 팀워크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 종업원간의 열린 의사소통 및 협업을 촉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조직 분위기 및 업무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e COVID-19 pandemic catalyzed major changes in our work environment, underscoring the critical role of workplace flexibility. While a wealth of research exists on specific flexible work strategies and schedules, a broader understanding of workplace flexibility has been somewhat overlooked. This study aimed to bridge this gap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ur sample consisted of 300 employees from foreign businesses in th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ervice sector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long with those from the top 50 leading Korean enterprises. We bifurcated workplace flexibility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for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ur results revealed that within the quantitative category, the flexibility of continuity of work and flexible place significantly enh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the flexibility of work schedules didn't have a marked impact on commitment levels. On the qualitative side, job autonomy and teamwork emerged as significant drive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s worth noting that qualitative aspects of workplace flexibility had a more pronounced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e quantitative elem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workplace flexibilit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embracing both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For businesses aiming to maximize the benefits of flexibility, it's essential to cultivate a culture of open communication, champion collaboration, and prioritize job autonomy and teamwork. Establishing a work environment that actively supports feedback-oriented communication stands as a key component in this endeav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벤처혁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