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 직장협의회 활성화를 위한 헌법적 연구 (A Constitutional Study for Revitalization of Public Officials’ Counci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04
33P 미리보기
공무원 직장협의회 활성화를 위한 헌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법연구 / 21권 / 1호 / 377 ~ 409페이지
    · 저자명 : 황정순, 김상겸

    초록

    우리나라는 1998년 공무원직장협의회법을 제정하면서 공무원의 권익을 위한 단체 설립을 허용하였다. 이 법률이 1999년부터 시행에 들어가면서 공무원직장협의회 설립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런데 2006년부터 공무원노조법이 시행되면서 공무원의 권익을 위한 단체의 축은 공무원노조 쪽으로 기울어졌다. 이는 공무원직장협의회가 공무원노조가 결성되기까지 사전 단계의 단체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공무원노조가 활동을 하면서 공무원직장협의회의 가입자 수도 줄어들었고, 활동도 축소되었다. 그러다가 2010년대 중반에 오면서 공무원직장협의회는 나름대로 공무원노조와 차별화하면서 가입자 수도 소폭 증가하면서 활성화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렇지만 2017년 이후 다시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수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로 변하였고, 2019년과 2020년에 와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공무원직장협의회는 법의 목적에서 명시하고 있듯이 근무환경 개선, 업무능률 향상 및 고충처리 등을 위한 단체로 공무원 권익향상을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그런 점에서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공무원노조와는 차별화된다. 그렇지만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성격이 협의체로서 협의된 결과를 실행할 수 있는 강제력이나 의무가 없다.
    공무원직협은 2019년 법 개정으로 경찰⋅소방공무원이 포함되었으나, 그 활성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동안 공무원직협을 위한 개선방안이 연구되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그러다가 2020년 행정안전부의 연구과제로 공무원직협의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견해가 나왔다. 이 활성화 방안은 공무원직협의 확립, 직협의 당연설치 및 자동가입, 직협 연합의 허용, 가입범위 확대(직급과 직무), 협의회 기능 강화, 주관부처에 집행기능 부여, 공무원노조 임원 겸직 허용 또는 제한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양 단체의 임원 겸직 문제는 자칫 단체 간의 독립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공무원직협의 임원으로 활동하는 경우에는 공무원직협의 협의기능 내에서만 활동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무원직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직협의 기능을 단순히 협의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협의한 내용이 합의되면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경우 공무원노조와 차별화된 공무원 권익단체로서 존재의미를 부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무원직협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합협의체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무원직협 임원의 공무원노조 겸직 문제는 양 단체의 목적과 기능을 구분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겸직 문제에 관해서는 당연겸직보다는 겸직을 위한 선택권을 명문화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1998, when Korea enacted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Act, i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ublic officials. As this law went into effect in 1999,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spread nationwide. However, as the Public Officials Union Act came into effect in 2006, the axis of organizations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ublic officials has been tilted toward the public officials union. This is because the public service' council was recognized as a preliminary organization before the formation of the public service union.
    As the civil servants' union became active, the number of subscribers to the civil servants council decreased, and the activities were not actively developed. Then, in the mid-2010s, the Civil Service Council seemed to be active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slightly increased while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civil service union. However, after 2017, the number of public service workers' councils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has changed agai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has been decreasing rapidly in 2019 and 2020.
    As specified in the purpose of the law, the Public Officials Work Council i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ublic officials as an organization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handling grievances.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ublic service union, which aims to guarantee the basic labor rights of public officials. However, as the nature of the Public Officials Work Council is a consultative body, there is no coercion or obligation to implement the negotiated results.
    As a way to resolve these problems of the Public Officials Workers Council to some extent and revitalize them,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issue of concurrently serving as officers of the public officials union. This is because the executives of the Public Officials Workers' Council can proactively draw out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s with the experience of consultations like the executives of the public officials union. Although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Public Officials Work Council differs from that of the public officials union, the issue of concurrently serving executives can be viewed positively in that it is ultimately intended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ublic officials.
    The issue of concomitant positions in the public officials union of the executives of the Public Officials Work Council can be said to be the key to whether the two organizations can perform their roles by separating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Regarding this issue of concurrent employment, I think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options for concurrent employment rather than natural and concurrent employ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guarantee of independence of the Public Officials Workplace Council due to concurrent employment. In addition to th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ubscriber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public officials workplace council, and this issue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concurrent jo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