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법상 직위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Research on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Release from Position of Public Official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4
31P 미리보기
공무원법상 직위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54호 / 249 ~ 279페이지
    · 저자명 : 임성훈

    초록

    비위공무원에 대한 직위해제는 비위공무원에 대한 수사, 징계, 형사재판 기간 중에 그를 직무에서 배제함으로써 공직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공직에 관한 위험방지’ 기능을 한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직위해제 제도는 단순히 직무에서 배제하는 효과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 70%에 이르는 봉급 및 수당의 감액, 호봉승급 및 승진의 제한, 연가 및 연금 산정에서 재직기간 제외 등의 다양한 추가적 불이익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이익은 사후적으로 비위행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불송치, 불기소, 무죄판결, 징계위원회에서 징계하지 않기로 의결하거나, 소청심사나 행정소송에서 징계가 취소되는 경우)에는 회복되지만, 경징계만 이루어지거나 당연퇴직형이 아닌 가벼운 형만 선고되는 경우에는 중징계 또는 당연퇴직형의 경우와 동일하게 전혀 회복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공익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보수지급을 중단하거나 감액함 없이 직위해제가 넓게 인정되고, 보수지급이 없는 직위해제는 징계성 제재로 간주된다.
    독일의 경우에도 3개월까지는 불가피한 직무상 이유라는 포괄적인 사유만으로 직무수행 금지가 인정되고, 봉급의 지급중지는 파면 선고가 예상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도 공무원에 대한 생활보장을 고려하여 지급중지 비율은 50% 범위 내에서 생계유지를 위하여 부업이나 다른 수익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지 않도록 정하도록 하고 있다.
    영국 및 독일과 우리나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직무배제와 추가적 불이익이 분리되어 운영된다는 점으로, 직위해제와 추가적 불이익이 결합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공직에 관한 위험방지를 위하여 충분한 범위까지 직위해제가 확대되기 어렵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위해제로 인하여 발생한 추가적 불이익의 제재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사전 절차가 제대로 보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위해제 기관이 당연퇴직형이나 중징계 개연성에 대하여 잘못 판단하여 경징계 또는 가벼운 형만 선고되는 경우 그로 인한 불이익을 공무원이 전적으로 부담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무배제와 추가적 불이익을 분리하는 사고가 필요하다. 한편으로는 추가적 불이익 없는 직위해제를 인정하여 공직에 관한 위험방지를 위하여 충분한 범위에서 직위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직위해제의 상대방인 공무원에 대한 적정한 권익보호를 위하여, ① 추가적 불이익을 부과하는 경우에는 공직 박탈의 개연성을 엄격하게 심사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위하여 그에 대한 행정절차 보장을 강화하고, ② 직위해제 기관은 직위해제 및 추가적 불이익 부과의 타당성에 대하여 지속적인 재평가를 하면서 그와 동시에 해당 공무원에게철회·변경 신청권을 인정하며, ③ 소청 및 행정소송에서는 처분 이후의 사정변경을 반영하여 직위해제 및 추가적 불이익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절차를 보완하고, ④ 최종적으로 당연퇴직형 또는 파면이나 해임으로 공직이 박탈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추가적 불이익은 소급적으로 회복하여 주는 방향으로 직위해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lease from position serves to ensure confidence in public office by removing officials from their duties during investigations, disciplinary proceedings, and criminal trials. However, the release from position system in Korea not only has the effect of excluding the official from their duties, but also imposes various additional disadvantages such as reduction up to 70% of salary and allowances, limitation of salary increases and promotions, exclusion of length of service for calculating leave and pension benefits, etc. The removal from the position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mandatory retirement. Any additional disadvantage resulting from the release from position can be recovered if the individual is later proven innocent, but if a public official does not receive a penalty or disciplinary action leading to mandatory retirement, there is no possibility of recovery, just like in the case of mandatory retirement. in cases where a public official does not receive a penalty or disciplinary action leading to mandatory retir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recovery, just like in the case of mandatory retirement.
    In the UK, the suspension with pay is broadly recognized as a necessary measure for protecting the public interest, and the suspension without pay is considered a disciplinary sanction. In Germany, the prohibition of performing official duties is recognized for a comprehensive reason of inevitable duty-related reasons for up to three months. The tentative pause of payment is executed only in cases where it is expected that the dismissal will be imposed. In this case, to ensure the livelihood of civil servants, the rate of pause of payment is decided enough to make a living within 50%.
    The biggest differences between the UK/Germany and Korea is whether the release from position and additional disadvantages are separated. In Korea,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release from position and additional disadvantages,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lease from position to a necessary extent to ensure confidence in public office.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additional disadvantages are of a sanctionary nature,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not sufficiently guaranteed. Furthermore, even if the administrative agency makes a wrong judgment about probabilities of mandatory retirement and in reality only a much lighter punishment is issued, the burden of such misjudgment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shall be borne entirely by the public servant.
    To address these issues, a separation of exclusion from duty and additional disadvantages is necessary. On the one hand, we need to recognize release from position without additional disadvantages, so that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a sufficient scope to ensure confidence in public office. On the other hand, to protect the rights of public officials who are the recipients of release from position, the following improvements should be made. Firstly, in cases where additional disadvantages are imposed, the administrative agency must strictly review the probabilities of mandatory retirement while reinforc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Secondly, the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re-evaluate the retention of the release from position and grant the right of civil servants to apply for withdrawal or change. Thirdly, in the appeal review procedure, a procedure is introduced to reflect the change in circumstances and make a judgment to withdraw or change the release from position. Fourthly, unless it is finally concluded that the public servant has done something wrong that constitutes a reason for mandatory retirement, additional disadvantages should be retroactively resto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