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대元代 한인 사대부의 화이관華夷觀 (The Chinese Literati's Sino-Barbarian Theory in Yua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2
28P 미리보기
원대元代 한인 사대부의 화이관華夷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8호 / 107 ~ 134페이지
    · 저자명 : 고명수

    초록

    중국의 전통적 화이관은 화하족이 중원에서 문명을 창달하고 영토국가를 건립하는 과정에서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본래 화・이 구별의 척도로서 종족이 중시되었으나, 문화의 유무로 화・이를구분하는 관념도 꾸준히 발전했다. 문화적 화이관은 13세기 초 몽골이 화북을 점령했을 때 일부사대부가 몽골의 통치를 인정하고 협력하는 데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다. 몽골이 남송을 멸망시킨직후 대다수 강남 사대부는 그들을 이적으로 규정하고 지배에 순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몽골의 강남 지배가 장기화하면서 화이구별 관념이 약화되고 그들을 중화로 인정하는 경향이 확대했다. 이에 따라 원말에 종족적・문화적 화이관이 공존하여 강남 사대부가 원・명을 다르게 평가하고 상반된행보를 취하는 데 각기 영향을 미쳤다. 몽골은 한인 사대부로부터 중화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지않았다. 스스로 중화 왕조로 인식하지 않아 중국의 정통을 계승할 당위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그들은 강남에서 화이구별 관념을 허용했다. 이는 일부 사대부가 명의 흥기와 몽골 타도에 협조하는 요인이 되었다.

    영어초록

    China's traditional Sino-Barbarian theory was naturally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Chinese people developing civilization and establishing a territorial state in the Central Plains. Originally, race was emphasized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Chinese and Barbarians. But the idea of distinguishing between Chinese and Barbarian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ulture also steadily developed. Cultural Sino-Barbarian theory provided the ideological basis for some literati to recognize and cooperate with Mongol rule when the Mongols occupied North China in the early 13th century. Immediately after the Mongols destroyed the Southern Song Dynasty, most of the literati defined them as barbarians and did not comply with their rule. However, as Mongol's rule over South China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concept of separate Sino-Barbarian weakened and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m as Chinese expanded. Mongol did not make any efforts to be recognized as Chinese by the Chinese literati. This is because Mongol did not recognize itself as a Chinese dynasty and did not feel justified in inheriting Chinese orthodoxy. This became a factor for some literati to cooperate with the rise of Ming and the overthrow of Mong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