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유치원 보모와 유년문학의 성장 (Japanese occupation a nanny, kindergartner and the growth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6
42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유치원 보모와 유년문학의 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4호 / 279 ~ 320페이지
    · 저자명 : 박인경

    초록

    1920년대부터 유치원에서는 유년의 연령을 ‘3세에서 7세로’로 규정짓고, 왕성한 발전을 이루지만, 아동문학에서는 유년에 대한 개념조차 정립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유년들에게 들려줄 수 있는 유년문학들이 충분하지 못하였기에, 유치원 보모들은 스스로 기존의 유년문학 작품을 번역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유치원 보모들의 문학 작가로서 성장하는 모습을 신문이나 잡지에 유치원 보모의 신분을 밝히고 게재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29년 『조선일보』의 「1人 1話 유치원동화」 와 1940년 『소년』의 「유치원동화 특집」 그리고 1941년 『아이생활』의 「유치원동화 특집」이 있으며, 특징들을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초반에는 번역과 재화 형식의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였기에 기존의 아동문학가들 작품과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점차 보모들만의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문학성을 지닌 표현적 기교보다는 동정심이나 효심과 관련된 교훈적인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전하고 있으며, 전래동화 소재를 활용하여 우리의 민족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유년이라는 대상을 인식하여 잔인한 내용들은 순화하여 표현하였으며, 글자를 모르는 유년들을 위해 들려주는 방식의 구연 서술 방식을 사용하였다.
    위 특징을 통해 일제강점기 유년 문학가로서 성장하는 보모들의 성장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유년문학도 함께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Since the 1920s before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was establish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indergartens as educational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have achieved the prosperous development. As there were not many early childhood literatures that could be read for young children at that time, the kindergartners might create literary works for young children.
    As most of the released works are the one-time special works, it is very much limited to closely analyze the world of works by kindergartners. The published works by clearly revealing the status of kindergartner in newspaper or magazines include 「One-Person One-Episode Children’s Story」 of 『The Chosun Ilbo』 in 1929, 「Special Kindergarten Children’s Story」 of 『Boy』 in 1940, and 「Special Kindergarten Children’s Story」 of 『Child Life』 in 1941.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as there were many works in the form of translation and reproduction that could be shown in the beginning stage of creating works, they were highly related to the existing works translated or reproduced by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Second, on top of directly delivering didactic messages related to sympathy or filial love instead of expressive techniques with literary value, the ethnicity was also shown by using materials of traditional fairy tales.
    Third, the cruel contents were purified by cognizing the subject of young children. For young children who could not read letters, the orally-narrated description method was used.
    Kindergartners were many works in the form of translation and reproduction, created works, showed the kindergartners’ efforts to establish the genre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by expressing each work into different names of genre. As time passed, the changed growth of kindergartners into writers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was ver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