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객실승무원의 피로와 항공안전법상 근무시간에 관한 연구 - 객실승무원의 근무여건 향상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 제시 - (Study on Cabin Crew’s Fatigue and Duty Periods under the Aviation Safety Law- Legal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s of Cabin Crew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8
21P 미리보기
객실승무원의 피로와 항공안전법상 근무시간에 관한 연구 - 객실승무원의 근무여건 향상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 제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항공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16권 / 4호 / 87 ~ 107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아, 황호원

    초록

    대한민국의 항공 순위는 국제여객운송 세계 12위, 화물 운송 세계 4위로 종합 세계 6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나날이 항공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기존 대형항공사 2곳에 이어 6곳의 저가 항공사까지 객실승무원의 숫자만 1만 3천 4백여 명에 달한다. 현재 객실승무원의 피로관리는 항공안전법 제 56조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에 따른 휴식시간 규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 이 규정은 ICAO국제 기준 및 해외 선진국들의 근무시간 등에 관한 규정과 비교하였을 때 피로관리로 운용되기에는 상당히 부족해 보인다. 최근 에어부산 객실 승무원이 과도한 피로로 인하여 기내에서 연달아 쓰러지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국토교통부에서는 모든 항공사를 상대로 관련법 규정위반 여부를 조사했으나 이를 위반한 항공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이것은 객실승무원의 피로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현행 항공안전법에서 근무시간에 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최대 승무(비행)시간이 다른 어떠한 국가들보다도 상향하기 때문이다. 최근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최대 연장근로 제한 시간이 주 64시간에서 52시간으로 바뀌고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 기준의 적용에 예외 되는 특례 조항의 업종이 16종에서 5종으로 줄면서 많은 부문에서 근로환경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에 관하여 적용을 받지 못하는 항공운송업은 항공안전법에 그 기준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항공업계의 근 20년 동안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행 항공안전법의 관련 조항은 현실적인 근로환경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ICAO의 국제기준 및 권고사항, 해외 다른 국가들의 입법사례,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의 동일한 규정이 적용되는 미국, 유럽과는 달리 현재 다르게 적용되는 객실 승무원과 운항 승무원의 관련 규정과의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항공안전법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Republic of Korea ranks 6th place(2016) in the world airline and 12th in passenger transport and 4th in cargo transportation and air service market in Korea is getting expended. In consequence, the number of cabin crew has reached over 13,400 of two existing full-service carriers and six low-cost carriers(LCC) on March in 2018.
    The fatigue management of cabin crews in Korea is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56 of the Aviation Safety Act regulating flight time limitation and the rest time for flight duty period. The standards stipulated in Article 56, however, doesn’t follow sufficiently international trends, including those referred to in an ICAO document and in domestic legislation in several foreign countries.
    While there was no any violation of the Aviation Safety Act, the cabin crews of Air Busan fainted away during flight due to excessive fatigue. This case shows well how the current law on fatigue management for cabin crew in Korean airliners is inefficient and unrealistic to keep the cabin crews away from excessive fatigue and to enhance the aviation safety. In particular, there is no any rule on-duty period under the current Aviation Safety Law and the stipulated maximum flight time in the Act is longer than in the laws of the U.S., the U.K., and Singapore.
    Although the Labor Standards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revised and introduced a shorter maximum working hours in a week than before, from 64 hours in a week to 52 hours for a week, this does not apply to cabin crews due to Article 59 of the revised Labor Standards Act excluding cabin crews from applying the revised maximum working hours for a week. Therefore, it is the Aviation Safety Act that regulates labor conditions of cabin crews, but this Act does not reflect a realistic working environment at all, differently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did, in spite of the rapid progress of the field of the aviation industry for nearly two decades.
    Minding such a current problem of law and policy regulating the fatigue management for cabin crews, the author suggested the desirable proposals for improving the present Aviation Safety Law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evant regulations of a cabin crew and a flight crew that are applied differently unlike the U.S., Europe countries that apply the same regulations to a flight and a cabin crew. Furthermore, to reach the conclusion, the author regarded internationally recommended standards, in particular, the ICAO’s relevant guidelines and the state practices on this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항공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