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5.12
15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3권 / 6호 / 1 ~ 15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창경원은 일제강점기 창경궁에 박물관과 동․식물원이 계획되면서 조성된 유원지다. 오락거리를 갖추고 즐거움을 주는 공간인 유원지는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의 이미지를 재현해왔다. 본 연구는 창경원의 조성 과정과 공간 변화를 고찰하고, 그 결과 조성된 낙원으로서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했다.
    창경원의 조성 의도와 과정을 문헌으로 고찰한 결과, 창경원은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순종의 즐거움을 위한 ‘어원’이자, ‘대중을 위한 오락장’으로 조성되었으며, 개원과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면서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의 공간 구성은 근대 도면과 사진을 비교․분석해 파악했다. 창경원의 배치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박물관 영역, 북쪽에는 식물원 영역, 남쪽에는 동물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식물원 지구에는 대온실을 중심으로 한 식물배양실 등 열대 식물의 전시 및 관리 기능이 집약되었으며, 동물원 영역의 연못은 수금방양소로 만들고, 이 주변으로 각종 동물사와 동물 온실을 신축했다. 박물관 시설은 본관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각들을 전시 시설로 흡수했으며, 전각 사이에는 서양식 정원을 조성해 꽃을 계획적으로 재배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 이르면 아동운동장이나 말운동장과 같이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이 만들어졌다.
    다음으로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창경원은 동․식물원을 통해 희귀한 동물과 식물들을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낙원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꽃관상이나 동물 구경과 같은 새로운 대중오락을 만들어냈다. 둘째, 창경원은 도시의 일상에서 탈출할 수 있는 ‘도시 안에서 도시 밖 자연을 간직한 낙원’을 상징하며, 도시민의 여가 공간이 되었다. 셋째, 벚꽃의 개화기에 야간 개방이 시작되면서 창경원에서는 조명 효과를 중심으로 ‘환상적인 밤 경관’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밤벚꽃놀이는 각종 공연, 음주 등과 결합되면서 선정적으로 변해갔고, 그 결과 창경원은 일탈의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창경원은 다양한 성격의 시설이 혼재되면서 유원지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했으며, 사람들은 유원지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오락 문화를 수용했다.

    영어초록

    Changgyeongwon emerged as pleasure grounds following the creation of a museum, zoo and botanical garden in Changgyeonggung Pa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leasure grounds offer space for entertainment and have maintained the image of a paradise apart from reality. This study examined the creation process of pleasure grounds within a royal palace and the following spatial changes. By analyzing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s an artificial paradise, this study explored its landscape and cultural aspects.
    Literature reviews on the intention and process showed that the Changgyeongwon pleasure grounds were created as a ‘royal garden’ for the amusement of Sunjong, as well as ‘public pleasure grounds’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It was one of the first public spaces open to everyone who could afford the entrance fee.
    The layout of Changgyeongwon was studied by a comparison and analyzation of modern plans and photographs. It was composed of the central museum zone, northern botanical garden zone, and southern zoological garden zone. A conservatory and greenhouse to exhibit and maintain tropical plants were intensively built in the botanical garden zone while an aviary was created on the zoo pond. In the vicinity of the aviary a vivarium was constructed. Museum exhibition facilities included a main building as well as existing buildings, and a western flower garden was created between the buildings. Space for children including a playground and horse-riding course were created in the 1930’s.
    The paradisiacal image and pleasure grounds culture of Changgyeongwon were studied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Changgyeongwon’s paradisiacal image where rare animals and exotic plants were open to the public was promoted by the zoo and botanical garden. This led to the creation of new popular leisure activities such as flower appreciation and animal watching. Secondly, Changgyeongwon offered an urban leisure space, symbolizing the ‘non-urban nature within the city’ where the urban residents could escape from the daily routine. Thirdly, Changgyeongwon was known for its ‘fantastic night landscape’ by its night opening during the cherry blossom season. This cherry blossom viewing at night sadly degenerated by various shows and drinking, and as a result, an image of a deviant paradise was given to Changgyeongwon.
    Changgyeongwon contributed to creating a new space with its diverse facilities, and the public embraced the urban culture through experiences of pleasure and entertai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