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무시선법(無時禪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harma of Timeless Meditation (Son)(無時禪法) of Won Buddh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원불교 무시선법(無時禪法)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57호 / 71 ~ 99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본 연구는 현대불교이자 참여불교인 원불교의 핵심선법인 무시선법(無時禪法)에 대한 연구이다. 불교 전통의 선법을 계승하고 있는 원불교는 독자적인 선법인 무시선을 통해 생활선(生活禪)을 현실에서 실천하고 있다. 무시선법은 원불교 교의의 핵심인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의 진리를 실천하는 수행이다. 무시선의 기본적인 성격은 첫째, 삼학 (三學)을 원만하게 병진하는 공부법, 둘째, 경계(境界)를 대하되 경계에 구속되지 않으며, 육근의 동정(動靜)에 한결같이 행하는 수행법, 셋째는 사회적 정의(正義)를 구현하며, 중도실상의 삶을 이루어가는 선법이다.
    원불교 교의에서 무시선법의 기본적인 전제는 심성수양과 기질수양을 병행하는 것, 내정정(內定靜)과 외정정(外定靜)의 쌍전, 유념과 무념이다. 「목우십도송」에서처럼 심신을 함께 길들여가는 과정이 필요하며, 모든 경계로 둘러싸인 재가중심의 선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마침내 무념의 공덕을 쌓은 수행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목표이다. 선사상에서 본 무시선법은 도신(道信)선사의 일행삼매의 전통을 비롯하여, 선농일치(禪農一致)의 보청법 (普請法), 수처작주(隨處作主)의 철학을 계승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적 토대 위에서 무시선법을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체로서 불법연구회가 활동했던 것이다.
    무시선법의 기본 원리는 진공묘유(眞空妙有)이다. 진공묘유는 불타(佛陀)의 무아설(無我說)을 필두로 대승불교의 반야사상, 용수(龍樹)의 8불중도, 승조(僧肇)의 부진공론(不眞空論), 그리고 하택신회(荷澤神會)선사의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에 기반하고 있다. 선사상사의 발전 과정 위에서 무시선법 또한 현대적인 선법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무시선법은 그 강령인 일심(一心)과 정의(正義)가 핵심이다. 일심은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성(覺性)이다. 또한 삼학의 결실인 중도의 정의이자 파사현정하는 마음이며, 과불급(過不及)이 없는 마음이 바로 무시선법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the dharma of timeless Seon(meditation)(無時禪法), the core mode of Seon of Won Buddhism that is modern and engaged Buddhism. Won Buddhism that has inherited the traditional mode of Seon of Buddhism practices daily practice Seon(生活禪) in real life through timeless Seon, the independent mode of Seon. The dharma of timeless Seon is a discipline to practice the truth of law-body buddha and the mark of a great-circle(法身佛 一圓相), the core of the meaning of Won Buddhis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imeless Seon are as follows: First, it's the method of study to keep pace with the three supreme principles(三學) smoothly. Second, it's the performance method that treats the percepts(境界) but does not belong to them and is done by movement and stillness(動靜) of six sense organs. Third, it's the mode of Seon that realizes social justice(正義) and leads a life of the true nature of the Middle Way or Path.
    The basic premises of the dharma of timeless Seon in the meaning of won Buddhism are to cultivate the nature of the mind and character together, both of internal right meditation(內定靜) and external right meditation(外定靜), and thought or a defiled mind and no-thought. The process to train the mind and the body is required like 「Mokwusimdosong」 and can be Upasaka-centered Seon practice surrounded by all the percepts. Finally, the goal is to reach the state of practice to accumulate the laudable deeds of no-thought(無念). The dharma of timeless Seon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a of Zen has inherited Bocheongbeop(普請法) of Seonnongilchi(禪農一致), philosophy of trying to be the master of yourself wherever you are or whatever you do without any hindrance(隨處作主) as well as Doshin(道信) Seon monastery's tradition of Samadhi of specific mode or action(一行三昧) of . The research society of the Buddha-dharma was active as an associational membership of Buddhism through the dharma of timeless Seon on the basis of this idea.
    The basic principle of the dharma of timeless Seon is Wondrous being of true emptiness(眞空妙有). Wondrous being of true emptiness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Prajna or transcendent wisdom of Mahayana Buddhism, the Middle Way or Path of 8 Sanskrit buddhas of Nagarjuna(龍樹), Sengzhao(僧肇)’s Bujingongron(不眞空論)」, and Empty - quiet - mysterious Mind(空寂靈知心) of Heze Shenhui(荷澤神會) Seon monastery starting with Buddha(佛陀)’s theory of selflessness(無我說). The dharma of timeless Seon also functions as the modern wholesome dharma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Bodhisattva's Seon monastery. In the modern sense, the core of the dharma of timeless seon is the singleness of mind(一心) and justice(正義) which are the principles. The singleness of mind is Buddhahood(覺性) of Complete and one-wholeness of original self-nature and extreme fairness. It is also justice of the middle path, the results of the three supreme principles, and the mind to Abolish or extirpate the evil way or erroneousness, and then establish the Buddha's illustrious teaching. Justice of the dharma of timeless seon is the mind without defici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