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소멸 시대와 원불교의 과제 (The Era of Demographic Decline in Rural Areas and the Tasks of Won-Buddhis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4
25P 미리보기
지방소멸 시대와 원불교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85권 / 1호 / 29 ~ 53페이지
    · 저자명 : 이주연, 허석

    초록

    지방소멸 현상은 원인이 복합적인 만큼 이 문제를 풀어야 하는 주체도복합적이다. 그래서 관계맺음, 즉 협력과 연대는 지방소멸 문제의 화두가되었다. 종교 또한 이 화두를 풀어야 하는 주체 중 하나다. 지방소멸 문제에응답하는 종교들의 시도는 그 종교만의 특수성, 그리고 시대적 보편성을 융합한 결과 성공적인 결실을 수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원불교는 어떤 특수성 위에서 어떻게 보편화할 수 있을까? 이 우주의 만물이 ‘없어서는 살 수없는 관계’를 형성하여 긴밀히 공생하고 있다고 보는 은(恩)의 사상. 소태산이 제시한 이 사상은 지방소멸 시대를 감당하고 극복해야 할 우리가 어떻게 관계맺음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담론으로 기능한다.
    원불교는 창립기부터 정관평 방언공사와 전재동포 구호사업등을 통해 신도만이 아닌 지역민, 전재동포와 고아들과의 관계맺음에 노력을 기울였다.
    이제 지방소멸 시대를 맞이하여, 원불교는 두 가지 과제를 부여받는다. 첫째는 지역사회와의 연대에 관한 것이다. 창립기 원불교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방식을 택했다면, 이제는 민관 협력체계에의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와연대할 시점에 있다. 이 연대의 과정에서 원불교의 역할은 경제주의 논리를벗어난 새로운 가치, 즉 ‘정신개벽’의 가치를 표방하는 것이다.
    둘째는 이주민의 환대에 관한 것이다. 종교계는 다문화 이주민의 정착을 돕는 역할을 해왔다. 원불교도 예외가 아니어서, 다문화 이주민을 환대하고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역할들은 이제 다양한 종교에 대한 이해와 포용으로 확장된다. 원불교 교의의 측면에서 이주민은 우리와 ‘동포’로서 연결된 관계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동포는 나와 ‘동일한’ 존재는 아니기에, 종교적 ‘동화’가 아닌 ‘공존’이 요청된다.
    지방소멸 시대에 종교가 가지는 사회적 과제는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에 대한 새로운 문명의 관점을 제시하고, 공동체의 관계 회복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간중심, 성장위주, 자본중심의 세계관이 인간과 인간 사이를 차등화하고, 인간과 자연 사이의 소통을 단절시키는 생명 파괴적 문명을 만들어 왔다면, 이제는 종교의 영성에 바탕해 인간이 자기존재를 새롭게 이해하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상생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는 세계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henomenon of demographic decline in rural areas is driven by a complex interplay of factors, necessitating a multifaceted approach to addressing the issue. Consequently, the notion of relational engagement-cooperation and solidarity-has emerged as a central theme in discussions on regional revitalization. Religion, as a significant social institution, also bears a role in responding to this pressing issue. The effectiveness of religious responses to regional depopulation hinges on their ability to integrate their unique doctrinal characteristics with broader socio-historical imperatives, thereby fostering meaningful and sustainable outcomes. In this context, how can Won-Buddhism translate its doctrinal distinctiveness into a universalized framework for social engagement? The thought of Grace(恩, Eun), which underpins the Won-Buddhist worldview, posits that all beings in the universe exist within an indispensable web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thereby necessitating harmonious coexistence. This philosophical foundation, as articulated by Sot’aesan, serves as a discursive lens through which relational engagement can be conceptualized and operationalized.
    Historically, from its early years, Won-Buddhism has actively engaged with local communities beyond its own adherents, as exemplified by initiatives such as the Jeonggwanpyeong Levee Project and humanitarian relief efforts for war refugees and orphans.
    In the current era of regional depopulation, Won-Buddhism faces two critical challenges. The first concerns solidarity with local communities. While early Won-Buddhism contributed to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direct community engagement, the present era calls for active participation in public-private cooperative frameworks that foster local solidarity. Within this process, the role of Won-Buddhism extends beyond economic pragmatism, advocating instead for the transformative value of spiritual awakening(精神開闢) as a counterbalance to materialist paradigms.
    The second challenge pertains to the reception of migrants. Religious organizations have long played a vital role in supporting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migrants, and Won-Buddhism is no exception. However, this role must now evolve to encompass a broader framework of interreligious understanding and inclusivity. From a doctrinal perspective, Won-Buddhism recognizes migrants as fellow beings(同胞) within an interconnected web of relationships. Yet, being compatriots does not imply homogeneity; rather,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coexistence over religious assimilation.
    In the era of regional depopulati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religion lies in presenting an alternative civilizational paradigm that addresses the root causes of demographic decline while offering pragmatic solutions for the restoration of communal relationships. If anthropocentric, growth-oriented, and capital-driven worldviews have fostered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s and disrupted ecological balance, religious spirituality must now provide a renewed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advocating for a worldview that upholds mutual coexistence between individuals and between humanity and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