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怨에 대한 茶山의 인식 고찰 (A Study on Dasan(茶山)’s Perception of Resent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怨에 대한 茶山의 인식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2호 / 339 ~ 361페이지
    · 저자명 : 정련

    초록

    본고의 목적은 茶山 丁若鏞(1762~1836)의 「原怨」을 통해 ‘怨’이라는 감정에 대한 그의 인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원은 인간 감정 중 비교적 부정적인 것으로, 보통 不公正한 대우를 받거나 상대방이 자신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하며, 쉽게 증오나 분노 등 공격적인 감정으로 발전해 현실에서 폭력이나 갈등을 초래하고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유교의 가치 체계에서 ‘원’은 항상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이와 반대로 ‘不怨’은 추앙하는 도덕 경지와 행동 모델이 된다. 그러나 「원원」에서 다산은 ‘원’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면서, 『孟子』에서 ‘원’에 대해 해석한 논리를 활용하여 여전히 ‘원’에 대한 설명을 ‘忠孝’라는 도덕적 틀 안에서 한정하고 있지만, 원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긍정적으로 인정한 점에서 큰 주목을 받을 만하다. 또한 다산은 원에 대한 변명을 통해 孔子의 ‘詩可以怨’라는 견해를 결합하여 ‘원’이 시문학 창작에서 갖는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 점은 다산이 창작한 社會詩에서도 잘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Dasan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through his essay Wonwon. As a relatively negative emotion in human experience, resentment typically arises when one encounters injustice or when others fail to meet one’s expectations. It can easily develop into hate or anger, which are more aggressive emotions, leading to real-world violence or conflicts and causing harm to others. Consequently, within the Confucian value system, resentment has traditionally been viewed negatively, and instead, the “absence of resentment” is considered a moral ideal and behavioral model advocated by Confucianism. However, in Wonwon, while utilizing the interpretative logic of resentment from the Confucian classic Mencius and still framing his explanation of resentment within the moral contex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positively affirming the legitimacy and rationality of resentment. This affirmation is a notable departure from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Moreover, Jeong Yak-yong defends resentment by incorporating Confucius’s view that “Poetry can express resentment”, thereby establishing the significance of resentment in the creative process of poetry and prose. This perspective is also evident in his own poetic works, particularly in his “Social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