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조직구조 유형에 따른 교직생활 특성 탐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fessional lives in public kindergartens b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08.10
45P 미리보기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조직구조 유형에 따른 교직생활 특성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열린유아교육연구 / 13권 / 5호 / 1 ~ 45페이지
    · 저자명 : 이순자

    초록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의 조직구조 유형에 따라 교사의 교직생활이 어떠한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의 조직구조 유형을 학급규모 등을 기준으로 하여 넷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대표적인 유치원 사례 아홉 곳을 선정하고 그 곳에 근무하는 교원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교직생활 태도 및 평가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교 병설 단급학급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경력이 쌓이면서 ‘나태해 진다.’고 하였고 교수방법도 ‘우물 안 개구리 식’이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병설 2, 3학급 유치원 교사들은 동교 교사들로부터 배우고 서로가 의지하며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근무할 수 있어서 전공 원감이 없는 ‘이대로가 좋다.’라고 평가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병설 전공원감 유치원 교사들은 교직생활을 ‘시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것과 같다. 그러나 아이들에게는 좋다.’라고 평가하였다. 넷째, 단설유치원의 교사들은 ‘단설은 피곤한 곳이다. 그러나 선생님들이 가장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라고 평가하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lives of public kindergartens are based on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s. Toward this goal, this study is to select nine representative kindergartens by type, classifying public kindergartens organizations into four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had intensive interviews three times of 32 teachers and teaching staffs working there, collected and analyzed journals written by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 teache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 with one clas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managed and executed all the school affairs themselves by implementing their own educational belief. However, they told that they came to be lazy as they got to be familiar with teaching and evaluated their teaching methods as “The frog in the well does not know the ocean”. Second,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teache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 with two or three classe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had the opinion that they managed the curriculum in more organized, systematic, sincere ways than those working in the kindergarten with one class. In addition, the teachers said ‘The current state is ok’ in which there is no vice-director because they can learn from peer teachers and work in free atmosphere. Third, the teachers in kindergartens with vice director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told they could more focus on the class by managing curriculum in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ways with the vice-director and peer teachers.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characteristics that the satisfaction with teaching lives depends on the role and leadership of vice-directors. They described their lives as living with husband's mother, that is, very difficult and uneasy. However, they evaluated it positive because it is good to children. Fourth, the teachers working in independent kindergartens said the systems are efficient because everything could be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their independent systems. However,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 teachers had a lot of works to deal with problems in kindergartens. The kindergartens were managed by director's intentions and philosophies rather than by teachers, and there were characteristics that the quality of teaching life depends on the contents and the director's role and leadership. The teachers described the life in kindergartens as 'the kindergarten is a tiring place, but ‘it is the best place where the teachers can be born aga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ublic kindergarten be different from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and that role and leadership trainings for vice directors be provided in the promo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