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로워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팔로워의 역할과 태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Focusing on the Roles and Attitudes of Follower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0
18P 미리보기
팔로워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팔로워의 역할과 태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컨설팅연구 / 24권 / 5호 / 53 ~ 70페이지
    · 저자명 : 남윤정

    초록

    4차 산업혁명 이후 인적자원은 조직의 핵심 자산으로 부각되었다. 기존의 인적자원 관련 연구는 주로 리더십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팔로워십 역량이 리더십 역량과 중복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리더와 팔로워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역할과 태도 영역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팔로워십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팔로워십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문헌 및 기존의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CVR)를 검증하고 서술형 의견을 수렴하여 안면타당도를 확보한 후, 7개 요인에 대한 50개의 예비 문항을 확정하였다. 측정도구 검증은 확정된 예비 문항을 바탕으로 전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측지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나머지 350부를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요인구조와 적절성을 확인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문항의 양호도 분석을 통해 9개의 문항이 제거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 개의 구성요인을 포함한 20개의 문항이 추가로 제거되었다. 둘째, 최종적으로 확정된 팔로워십 측정도구는 6개의 요인과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팔로워의 역할은 리더지원 행동, 업무주도 행동, 독립적 행동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뉘었고, 팔로워의 태도는 리더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직무수행 태도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측정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보하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대상으로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여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팔로워십 측정도구의 준거타당도 확인을 위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팔로워십 측정도구의 준거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팔로워십을 역할 관점의 새로운 도구로 제안하여 향후 연구의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리더와 차별화된 팔로워의 역할을 규명하여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실용적인 도구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팔로워십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신규 직원들의 팔로워십 역량 평가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resources have emerged as a core asset of organizations.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human resources has primarily focused on leaders, and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the overlap between followership competencies and leadership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hat clearly distinguishes the roles of leaders and followe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oles and attitud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followership was redefined, and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y referencing literature and existing measurement tools. Subsequent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CVR) and gather descriptive feedback, securing face validity, which led to the finalization of 50 preliminary items across seven factors.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nationwide using the finalized preliminary items, excluding missing data and insincere responses, resulting in the use of 350 valid response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item quality, 9 items were removed, a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 additional 20 items were removed, including one construct factor. Second, the final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six factors and 21 items, where the role of followers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leader support behavior, task-leading behavior, and independent behavior. The attitudes of follow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job performance attitude. Thir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stablished, and measurement invariance was verified using the samples employed i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dditionally,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was demonstrated to be goo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new tool for followership from a role perspective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expanding the diversity of future research and clarify the differentiated role of followers from leaders, presenting a practical tool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컨설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