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국채웅의 생애와 사회적 기여 (A Study on the Life and Social Contributions of Guk Chae-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국채웅의 생애와 사회적 기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7호 / 207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성수

    초록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담양 지역의 대표적인 부호이자 지주, 기업가였던 국채웅(鞠埰雄, 1871~1949)의 생애와 사회적 기여를 분석한다. 국채웅은 경제적 활동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대규모 농지 경영과 상업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35년 우송농장을 설립하여 농업 경영을 체계화하였고, 담양상회를 운영하며 상업과 금융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경제적 성공은 교육과 문화 분야의 후원으로 이어졌다. 담양유치원을 설립하고, 조선민립대학 기성회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 내 교육 발전을도왔다. 또한 일본 유학생을 후원하며 지식인 양성에 기여했다.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농촌 중견부인양성소를 설립하였다.
    국채웅의 불교 후원 활동은 그의 사회적 기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는 단순한 신자의 역할을 넘어, 불교계의 주요 사찰 중창 및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백양사와 제주 관음사의 불사에 적극적으로 기부하며 불교 발전에 기여하였다. 불교 후원은 개인적인 신앙심에서 출발했지만, 딸이 비구니로 출가한 이후 더욱 적극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 국채웅은 불교가 사회적 안정과 교육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사찰이 지역 사회에서 교육과 구제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국채웅의 활동이 항상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은 아니다. 당시 대지주로서의 역할로 인해 노동조합과의 갈등 및 소작농과의 대립이 존재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 지역 사회 내 지주 계층이 직면한 전형적인 문제로, 국채웅 역시 이러한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국채웅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일제강점기 지역 유지의 역할과복합성을 조명하며, 그의 경제 ․ 사회적 기여가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가지는 의미를 분석한다. 특히 불교 후원 활동을 단순한 종교적 기부가 아닌, 사회적 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적 후원으로 조명하면서, 불교가 조선 사회에서수행한 역할과 그 의의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 지역 사회에서 유지 계층이 불교를 활용하여 어떻게 지역 발전을 도모했는지를 분석하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social contributions of Guk Chae-ung (鞠 埰雄, 1871-1949), a prominent landlord, entrepreneur, and philanthropist in Damyang, Jeollanam-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uk Chaeu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large-scale agricultural and commercial enterprises. He established Useong Farm in 1935, systematized land management, operated Damyang Sanghoe, and expanded his business to commerce and finance.
    His financial success extended to supporting educ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He founded Damyang Kindergarte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Private University Association, and sponsored students studying in Japa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women's education, he established the Rural Women's Training Center and contributed to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sponsoring the pansori master Park Dong-sil.
    A major aspect of his social contribution was his patronage of Buddhism,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his philanthropic activities. In addition to being a devout believer, he was actively involved in temple restoration and provided financial support to Buddhist institutions. He sponsored the renovation of Baekyangsa and Gwaneumsa Temples in Jeju,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Buddhist revival movement. His support for Buddhism was not merely a personal religious expression, but a strategic effort to use Buddhism as a tool for social stability and education.
    His Buddhist patronage intensified after his daughter became a Buddhist nun, deepening his engagement with the monastic community. He firmly believed that Buddhism could serve as an agent of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providing financial and structural support for temples to function as centers of education and relief activities. Guk Chae-ung was not merely a donor but also a visionary supporter who saw Buddhism as a key element in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his contributions were not without controversy. As a large landowner, he faced conflicts with labor unions and tenant farmers, reflecting the broader socio-economic tensions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multifaceted role of regional elites in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Guk Chae-ung's contributions to Buddhism beyond mere financial sponsorship. By examining how he leveraged Buddhism for social development and stability, the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broader role of Buddhism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