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예식으로서의 ‘성찬’ 연구 (A study on ‘the Eucharist’ as a ritual that pursues Saramdaum)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2
18P 미리보기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예식으로서의 ‘성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격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격교육 / 18권 / 1호 / 223 ~ 240페이지
    · 저자명 : 양승준, 김정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에서 행하는 성찬예식을 통해 인격의 도야와 사람다움의 회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성찬은 예수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의미하는 상징물인 빵(떡)과 포도주를 나누며 예수그리스도를 기억하고,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속과 책임을 강화하는 데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속될 때 전염병 확산의 중심에 기독교, 특히 개신교가 서 있었다. 자신들의 종교적 행사를 사수한다는 명목하에 방역체계를 준수하지 않아 확진자를 양산하고 사회적 지탄을 받으며,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 이같은 이기성과 과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회에 소속된 이들이 사람다움을 회복해야 한다. 내세(來世)를 중요시하며 현세(現世)를 등한시하거나 외면하는 것이 아닌, 내세를 소망하되, 현세에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인격과 사람다움을 함양하고, 종교인으로서도 지켜야 할 책임과 의무를 감당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람다움과 진정한 기독교인으로서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기독교의 예식인 ‘성찬’을 고찰하며 의미들을 탐색하였다.
    성찬은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는데, 기독교의 전통과 유산은 ‘희생 제사’의 의미에 국한되어 왔다. 이는 교회와 그리스도의 몸을 동일시하는 가톨릭의 관점에서 비롯된 ‘화체설’이 원인이다. 이후 가톨릭을 개혁하며 등장한 개신교의 개혁자들인 루터, 칼빈, 웨슬리 등이 화체설을 대체하는 다양한 성찬의 개념과 의미들을 주장하였다.
    본고는 개신교의 다양한 성찬의 의미들을 탐구하고,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성찬의 함의들을 추출하여, 사회적 공신력을 잃어가는 기독교의 회복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성찬예식의 기대효과는 구원자이신 예수그리스도를 기억하는 일과 더불어 세상에 인간의 몸으로 성육신하신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탐구하고 구현하는 데 있다. 따라서 성찬예식을 자주 거행하고 참여하면서 사랑과 희생, 공동체 안에서의 교제를 통해 인격과 사람다움의 의미를 함양하고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and the restoration of Saramdaum through the Holy Communion service in Christianity. The purpose of the Holy Communion is to remember Jesus Christ by sharing bread and wine, which are symbols of the body and blood of Jesus Christ, and to strengthen the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as Christians who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As the covid-19 virus continued, Christianity, especially Protestantism, was at the center of the spread of the epidemic. In the name of protecting their religious events, they failed to comply with the quarantine system, resulting in a large number of confirmed cases, receiving social criticism, and causing problems. In order to overcome such selfishness and mistakes, those who belong to the church must restore their Saramdaum. Rather than placing importance on the afterlife and neglecting or ignoring the present life, one must hope for the afterlife, but must cultivate the character and Saramdaum that a human should have in this life, and take on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a religious person.
    So, “How can we seek restoration as a human being and as a true Christian?” This paper examines the Christian ritual of ‘the Eucharist’ and explores its meaning from various angles.
    The Eucharist has various implications, but Christian tradition and heritage have been limited to the meaning of ‘sacrifice.’ This is the ‘transubstantiation theory’ that originates from the Catholic perspective that identifies the church and the body of Christ. Afterwards, Protestant reformers such as Luther, Calvin, and Wesley, who emerged while reforming Catholicism, argued for various concepts and meanings of the Eucharist that replaced the theory of transubstanti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meanings of the Holy Communion in Protestantism, extracts the implications of the Holy Communion in pursuit of Saramdaum, and seeks to restore Christianity, which is losing social credibility.
    The expected effect of the Holy Communion service, which pursues Saramdaum, is to remember Jesus Christ, the one God and savior, as well as to explore and embody the life of Jesus Christ, who was incarnated as a human in the world. Therefore, we suggest that we frequently celebrate and participate in the Eucharist and cultivate and practice the meaning of character and Saramdaum through love, sacrifice, and fellowship within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격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