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적 제도’로서의 차가타이 울루스 명령문제도 연구 (A Study on the Chancery System of Chagatai Ulus as an ‘Imperial Institu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5
29P 미리보기
‘제국적 제도’로서의 차가타이 울루스 명령문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69호 / 97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석환

    초록

    현재까지 차가타이 울루스의 명령문제도 연구는 주로 출토된 명령문들에 대한 개별적인 역주 위주로 진행되었다. 상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카안 및 훌레구 울루스에 비해 차가타이 울루스의 명령문제도 연구는 아직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실물 명령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차가타이 울루스 명령문제도를 초보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명령문의 구조상 몽골 제국 초기 명령문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요소들이 누락된 경우도 있지만 핵심적인 요소는 동일한 순서대로 유지되었고, 다른 명령문에서는 해당 누락 요소가 포함되기도 하였다. 또 이 구조는 왕자 및 아미르 등의 명령문에도 용어만 달리한 채 그대로 유지되었다. ‘命令文 유형’에서도 몽골 제국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몽골은 ‘자를릭’(jarliɣ)과 ‘우게’(üge)를 구분하여 전자는 카안의 전용어로 하였고, 후자는 왕자나 카툰 등 그 외 인물들의 말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다. 차가타이 울루스의 칸은 대내적으로 카안과 같은 존재였기 때문에 '자를릭'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명령문 유형'에 있어서만큼은 전통에 따라 '우게'를 고집하였다. 또 문서의 외형이라는 측면에서도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각 명령문은 반드시 들여쓰기를 하였는데, 표본의 수가 적어서 그 규칙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들여쓰기를 하였다는 공통점은 존재한다. 대체로 '발령자 및 명령문 유형' 이후 네 개의 항을 들여쓰기 하였다. 아울러 印章의 사용과 구분이라는 측면에서도 유사점이 있다. 차가타이 울루스 명령문에는 “nisan-tu”와 “ništu” 등 “니샨(nishan)”이라는 표현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곧 印章을 지칭한다. 인장은 다시 그냥 “니샨”, “알 니샨”, “카라 니샨” 등의 표현으로 등장하는데, 신분에 따라 알 니샨과 카라 니샨을 구분했을 가능성이 있다. 요컨대 현존하는 차가타이 울루스의 명령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그 구조, 표현, 형식 등의 측면에서 몽골 제국 초기 및 다른 울루스와 상당한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몽골 제국의 명령문제도가 단순히 정주 문화로부터 그대로 수용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전통으로 발전시켜 나갔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몽골 제국의 명령문제도는 차가타이 울루스를 포함한 제국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작동된 ‘제국적 제도’의 하나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Until now, studies on the chancery system of the Chagatai Ulus have not been conducted thoroughly. Most studies were focused on the annotation and translation of existing orders issued in Chagatai Ulus.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hancery system of Chagatai Ulus is still unknown when compared to that of Qa’an Ulus and Hülegü Ulus, which have considerable historical sourc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chancery system of Chagatai Ulus at a preliminary level by analyzing the existing orders and compares them with other cases of the Mongol Empire.
    Chagatai, the second son of Chinggis Khan, was quite stubborn and adhered to the Mongol tradition. His father told his commanders that “any who had a desire to know the yasa and yosun of the kingdom should follow Chagatai.” Also, there was few sedentary cultures in Central Asia at that time, where his ulus was located, and most of rulers and subjects were more accustomed to the Turk-Mongol nomadic world.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hancery system of Chagatai Ulus was quite like that of the early Mongol Empire, and even appeared to contain some of its original form.
    First, we could find that the structure of orders issued in Chagatai Ulus was almost identical with that of the early Mongol Empire. For example, Tughlugh Temür’s edict in 1348 or 1360 was comprised of ‘Addresser and Order Type’, ‘Addressee’, ‘Text’, ‘Intimidation’, and ‘Date.’ Although ‘Authorization’ and ‘Background’, commonly found in royal orders in the Mongol Empire, were omitted in this edict, most key parts were maintained in the same order, and it is not hard to find those two components contained in other cases of Chagatai Ulus. This structure was applied not only to khan’s edicts, but also to princes and amirs’ orders with some different terms.
    Second, a strong tradition was kept in ‘Order Type.’ The Mongols mad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jarligh, a sovereign ruler’s word, and üge, the other’s word. In principle, Chagatai and later khans of Chagatai Ulus had to refer to their edicts as üge, because they were not qa’an, the supreme ruler of the whole Mongol Empire, but köbe’ün, a prince, who possessed his own ulus. On the other hand, they exercised absolute power in their own ulus. They could claim that they had the legal right of using jarligh, and we could easily find those cases in sources. However, khans of Chagatai Ulus used üge as ‘Order Type’ in their edicts thoroughly. This shows that the tradition in the chancery system of the early Mongol Empire had continued in effect in Chagatai Ulus.
    Third, the orders of Chagatai Ulus have in common with those of the early Mongol Empire and Hülegü ulus in documents’ layout. Güyük, the third great khan of the Mongol Empire, sent a letter to Pope Innocent Ⅳ. Four lines after ‘Addresser and Order Type’ were indented in the letter as well as in the letter of Arghun, the fourth khan of Hülegü Ulus, to Phillip Ⅳ. In the cases of Chagatai Ulus, from 2 to 5 lines after ‘Addresser and Order Type’ were indented in nine documents. Although there are three exceptional cases and few unidentifiable documents because of their original damage, overall, we could claim that orders of Chagatai Ulus were followed by the Mongol Empire’s custom in the aspect of layout.
    Fourth, there is some similarity in the use and division of seals. Seals were expressed as nishan in orders of Chagatai Ulus, and they were divided into nishan, al nishan, and qara nishan. Al nishan, red seal in its sense, appeared in Tughlugh Temür Khan’s two edicts, and qara nishan, black seal, was referred to in others’ documents except khan. This distinction of seal’s color and its usage reminds us of the exact same cases in Hülegü Ulus, where tamgha was used instead of nishan. However, contrary to Hülegü Ulus, it appears that in Chagatai Ulus seals inscribed in Chinese had not been used, and both round and square seals were used at the same time.
    In general, if we examine the existing orders of Chagatai Ulus, we could find common features with those of the early Mongol Empire and Hülegü Ulus in their structure, expression, and format. This means that the Mongols did not simply accept their chancery system from the sedentary world, but they continued to develop and maintain it as their own tradition. In this sense, we could define the chancery system as one of the “imperial institutions” which was operated all over the empire including Chagatai Ul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