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시에 나타난 ‘서정’의 새로운 양상과 존재 지향 -박양균과 신동집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New modes of “‘lyricism’” and existential orientation in post-war poetry -Focus on poetry of Park Yang-gyun and Shin Dong-jip-)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0
32P 미리보기
전후시에 나타난 ‘서정’의 새로운 양상과 존재 지향 -박양균과 신동집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4호 / 73 ~ 104페이지
    · 저자명 : 고봉준

    초록

    이 논문은 박양균과 신동집의 초기 시를 ‘전후시’의 관점에서 살핀 연구이다. 한국전쟁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고, 시에서 그것은 1960년대 초반 ‘전후시’라는 개념으로 담론화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전후시는 한국전쟁 이전까지 서정시를 주도한 유치환, 서정주, 청록파에 대한 반발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이 시를 관통하고 있는 전통적인 자연에 기댄 토속적인 서정시는 첨단의 기계문명을 바탕으로 전개된 한국전쟁 이후에는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 특히 인간의 실존에 안정감을 제공하던 전통적인 세계는 전쟁으로 인해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통적 서정시에 대한 반발은 ‘전후시’에서 다수의 경향으로 분화했는데, 그 대략적인 방향은 기계적ㆍ현대적 문명의 추구를 지향한 모더니즘과 전쟁 체험에 근거한 인간 존재와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지향한 존재 시학으로 양분되었다.
    박양균과 신동집의 초기 시는 존재 시학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의 시는 공통적으로 ‘존재’와 ‘언어’를 중심으로 새로운 서정을 모색했다. 박양균은 시적 대상을 다양한 맥락이 충돌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위치시킴으로써 존재의 모순성을 부각시킨다. 그는 대상에 대한 시인의 해석을 배제하는 대신 시적 대상이 처한 상황을 환기하는 방식으로 전후 인간 존재가 놓여 있는 지평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품을 썼다. 한편 신동집은 전후의 현실을 인간성과 존재 상실의 시대로 인식하고 전쟁이 초래한 상실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했다. 1970년대 이후 신동집은 사물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 그의 시는 인간 존재와 실존의 범주를 중심으로 새로운 서정을 탐색함으로써 뚜렷한 존재 시학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poetry of Park Yang-gyun and Shin Dong-jip from the perspective of “‘post-war poetry’.” The Korean War significantly affected literature, and in poetry, it began to be discursed as a concept of “‘post-war poetry’” in the early 1960s. Korean post-war poetry can be summarized as a reaction against the Ryu Ch'i-hwan, Seo Jeong-Ju, and Chung-nok-pa, which dominated lyric poetry before the Korean War. Their traditional, nature-oriented, indigenous lyrical poetry, which is based on an advanced mechanical civilization, could no longer be sustained after the Korean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particularly in the traditional world, which provided a sense of stability to human existence, is destroyed by the war. The reaction against this traditional lyrical poetry erupted into a number of trends in “‘post-war poetry,’” the general direction of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modernism, which is oriented toward the pursuit of mechanical and modern civilization, and existential poetics, which is oriented toward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human existence and life based on the experience of war.
    Park Yang-gyun and Shin Dong-jip’s early poetry can be summarized as existential poetics. Their poems sought a new lyricism centered on “‘existence’” and “‘language’” in common. Park Yang-gyun emphasizes the contradictions of existence by placing poetic objects in contradictory situations where various contexts collide. Instead of excluding the poet's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he writes in a manners that evokes a situation in which the poetic subject is placed, thus revealing the horizon of post-war human existence. Meanwhile, Shin Dong-jip perceived post- war reality as a time of loss of humanity and existence, and focused his attention on the loss caused by war. After the 1970s, Shin began expressing his interest in objects; however, his poetr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geared toward existential poetic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new lyricism centered on human existence and existenti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