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찰법상 위험개념의 새로운 전개 및 그 통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개연성을 중심으로- (The new progress of the concept of danger in Police law and the objective research on the control -focus on the probabi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경찰법상 위험개념의 새로운 전개 및 그 통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개연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8권 / 2호 / 315 ~ 339페이지
    · 저자명 : 박웅광

    초록

    종래 전통적인 경찰법 이론에 의하면, 경찰권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사될 수 있고 이 때의 위험은 구체적인 위험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위험이란 어떠한 상태나 행위가 객관적으로 예상될 수 있는 진행이 저지되지 않는다면 경찰상 보호법익을 손상할 개연성이 있는 경우, 즉 머지않아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상태라고 정의된다. 이는 독일의 학설과 판례에 의한 것으로 현행 경찰법이나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위험 개념에 대한 별도의 정의가 없는 우리나라는 이에 관해 독자적인 분석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위험이 통상 ‘경찰권의 한계론’에서 거론되어 왔다는 점에서 그 출발점은 경찰권한을 가능한 한 제한하고자 하는 사고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 등 사회현상이 복잡 다양하게 전개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위험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이에 대처하는 방안으로 위험개념이 새로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전통적인 구체적 위험개념으로는 그 대응이 곤란한 경우가 나타나면서 구체적인 위험이 인정되는 이전 시점에서 경찰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고 관련 내용이 입법화된 경우도 있다. 이는 ‘소극적인 위험방지로부터 적극적인 위험의 사전배려로’라는 위험방지 법시스템의 전환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데, 이 경우 위험의 평가를 둘러싸고 생기는 자유와 안전의 긴장관계를 위험개념의 실증화를 시도함에 의해서 해소하고, 나아가 경찰의 위험방지권한의 적정한 통제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예방국가 또는 예방경찰활동, 위험사전대비활동 등으로 표현되고 있는 상황하에서의 경찰권 발동도 궁극적으로는 법치국가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구체적 위험의 법리는 포기할 수 없는 명제로 보아야 한다. 개별 영역마다 새로운 위험개념을 창출하여 규율하기 보다는 구체적 위험의 스펙트럼을 조정하는 방향이 보다 합리적이라 판단되며, 구체적 위험을 단계적으로 패턴화하여 정형화함에 있어서는 빅데이터 등 최근의 과학기술의 발전까지 이용하여 사전적인 위험방지조치가 필요한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olice law theories, police rights can be exercised to prevent danger to the well-being and order of public officials, and the risks at this time represent specific risks. The specific risk is that unless a condition or ac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bjectively anticipated, it is likely to damage the police protection law, that es, soon after. It is defined as a highly probable state of public welfare and order damage. This is based on German theory and precedent, and no independent analysis of the concept of risk was made in Korea, where there is on separate definition under the current police law.
    This relates to the idea of limiting police powers as much as possible, in that risks have been discussed in the doctrine of the limitation of police rights. However, new types of risks emerged as social phenomena such as ty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and the concept of risks is newly developed as a way to respond to these phenomena. The traditional concept of risk show that it es difficult to respond,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police force is exercised at a previous stage where the specific risk is acknowledged, and that the relevant content has been enacted.
    This is a shift in the legal system for prevention of risk, from passive risk prevention to proactive consideration of risk, in which case, a necessary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human rights to the assessment of risk is tried to demonstrate the concept of risk. Under the circumstances of preventive police action, the enforcement of the police authority should be based on the national perspective of law, and the legal logic of specific risks should be viewed as a proposition that can not be abandoned. It is deemed more reasonable to adjust the spectrum of specific hazards rather than creating and regulating new risk concepts in individual areas, and to be able to phase out specific risks to the latest advances in technology such as big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