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정치공간을 찾아서: 샤를 푸리에(C. Fourier)의 협동사회를 통한 역사적 상상력* (Imagine the New Polity: A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Utopian Communities in Fouri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2
26P 미리보기
새로운 정치공간을 찾아서: 샤를 푸리에(C. Fourier)의 협동사회를 통한 역사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치학회보 / 33권 / 1호 / 51 ~ 76페이지
    · 저자명 : 박주원

    초록

    이 글은 새로운 ‘정치’의 공간을 상상하고 구체화해보려는 하나의 시론적 작업으로서, 19세기 초기 사회주의자 샤를 푸리에(Charles Fourier)에게서 나타나는 협동사회로의 경로와 꿈을 당대 푸리에주의자들에 의해 전개되었던 협동사회의 역사적 실험들과 20세기 후반부터 우리 사회에서 출현하고 전개되고 있는 새로운 협동체의 모색에 연결시켜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 사회의 노동활동이 각 개인의 정념에 따라 자유롭고도 사회적으로 재배치되는 데에서 협동사회의 철학적 이념과 실재적 조건을 찾았던 푸리에의 사상은 정치의 공간을 노동의 영역, 사회적 영역과 연계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도 역사적인 상상력을 던져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푸리에가 제안했던 새로운 사회에서 노동과 생산 활동이 영위되는 사회적 관계와 분배의 원리는 무엇인지, 또한 그러한 사회적 배치가 어떻게 공동의 정치적 공간을 구성할 수 있을지 그 정치적 함축을 이끌어 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푸리에의 사상을 이후 푸리에주의자들에 의해 전개되었던 협동사회의 역사적 실험들과 이후 우리 사회에서 출현하고 있는 새로운 공동체 개념 혹은 새로운 노동과 분배의 개념에 연계시켜 봄으로써, 새로운 ‘정치’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상상력을 확장해보고자 하였다.
    비록 푸리에의 사상에서 정치이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보다 면밀한 이론적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이 글의 검토를 통해 보았을 때 그에게 공동체의 ‘질서’ 혹은 ‘원리’가 생산활동과 분리된 공간에서 선출된 소수의 대표자에 의해 영위되는 것이 아니었음은 분명하다. 그에게서 ‘정치’란 자신의 일과 노동활동을 사회적인 관계로 스스로 구성하고 조직하는 활동이자 그 배분의 기준을 결정하는 활동 자체에 다름 아니었다. 그러므로 푸리에의 협동사회 혹은 공동체의 원리에서 ‘정치’의 이념이 있다고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스스로 자유로운 노동활동의 배치에 참여하여 결정하고 그 활동에 대한 분배의 기준과 그 평가에 직접 참여하는 ‘생산자 스스로의 자치’로 조심스럽게 형상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푸리에에 따르면, 협동사회와 공동체의 구성원은 다른 이들과의 관계에서 자유로운 노동을 영위하면서 동시에 그 공동체의 원리를 결정하고 실제적 운용을 판단하는 정치적 주체가 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바로 그것이 이 글이 푸리에를 경유하여 이끌어냈던 현재적 시사점이었다. 노동과 분배를 정치와 관련짓는 그 연결의 방향은 단순히 경제적인 고용과 소득의 보완책이나 복지정책의 차원에서 머물거나 조합원 몫의 배당과 노동조건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는 조합주의적 차원에서 나아가, 스스로가 속한 경제적 사회적 삶의 원리와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치할 수 있는 활동, 바로 그러한 정치적 행위로 나아가야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offers a current opinion to substantiate ‘new polity,’ connecting the path and imagination of a cooperative society illustrated by Charles Fourier, an early 19th-century socialist, with the historical experiments of cooperative societies developed by his colleagues and the emerging models of associations in our society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o this end,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 principles in the Fourier’s society where labour and production activities are practiced, and derive implications for how such social arrangement constructs a common political environment. Further, this essay aims to expand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speculation on a ‘new polity' by linking Fourier’s ideas with the historical experiments of cooperative societies developed by Fourierists and with the nascent concept of new communities or alternative labour and distribution approaches in our society.
    While a detailed theoretical review is called for to answer whether Fourier's thought truly involves a political ideology, this essay suggests it is evident to him that the ‘order’ or ‘principle’ of the community is not determined by a few representatives who were chosen by the people. In Fourier’s conceptualization, ‘politics’ is rather an activity of constructing one’s own work and labour activities as social relations and determining the criteria for their distribution.
    If it exists in Fourier’s utopia community, the idea of ‘politics’ w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as ‘producer autonomy,’ where individuals actively engage in the arrangement of free labour and determine their own principles of distribution for appropriate evaluation. In this regard, Fourier’s ideology can provide a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framework to connect the political space to the realms of labour and social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