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급입법의 구분과 새로운 소급효 개념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검토하며 ― (Die Unterscheidung der Rückwirkung von Gesetzen und ein neuer Rückwirkungsbegriff)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12
23P 미리보기
소급입법의 구분과 새로운 소급효 개념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검토하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0권 / 2호 / 315 ~ 337페이지
    · 저자명 : 이부하

    초록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제1재판부는 소급효를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로 구분하며 일련의 기준들을 발전시켰다. 반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제2재판부는 상이한 기준으로서 ‘법효과의 소급적용’과 ‘구성요건적 소급연결’이라는 구분으로 소급효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판례에 따르면, 진정소급효 내지 법효과의 소급적용은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부진정소급효 내지 구성요건의 소급연결은 원칙적으로 허용된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의한 소급효의 유형화는 법적 신뢰보호를 위한 실질적 내용을 고려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제1재판부가 발전시킨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의 구분을 판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양자는 입법자의 기술에 의한 자의적인 구분일 뿐 본질적인 차이를 찾기 어렵다.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로 구분하는 것은 다음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첫째, 구성요건의 완결성을 기준으로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로 구분한 것은 구성요건 개념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문제가 있다. 둘째, 법적 개념으로서 구성요건이 이미 과거에 완성되었는지 여부 및 현재에도 계속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는 사실확인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 평가의 문제이다. 따라서 우연한 법기술적 문제로 인하여 법규범의 내용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셋째,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로의 구분은 신뢰상황의 보호가치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로의 구분은 구체적 사건에서 자의적인 판단에 이르게 된다. 진정소급효와 부진정소급효의 구분은 구체적인 사건에서 적용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과세기간의 종료시에 조세의무의 발생에 의해 경제적 부담을 지는 시점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당해 국민의 처분행위시점을 고려하는 처분행위관련적 소급효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Die Entwicklung differenzierter Maßstäbe für die begriffliche Unterscheidung der Rückwirkungsfälle erweist sich als schwierig.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hat in einer langen, aber keineswegs gesicherten Rechtsprechung versucht, aus dem Rechtsstaatsprinzip eine Reihe von Lehrsätzen zu entwickeln, die auf der Unterscheidung von echter (retroaktiver) und unechter (retrospektiver) Rückwirkung beruhen.
    Ein Problem betrifft die streng normative Definition der echten Rückwirkung. Diese muss zugleich die notwendige Unterscheidung von der unechten rechtfertigen können. Die sprachliche Fassung der vom Bundesverfassungsgericht zur Abgrenzung verwendeten Formulierung ist bedenklich, weil ein Tatbestand nicht abgewickelt werden oder sein kann und zu dem Sachverhalte nicht als „abgeschlossen“ vorstellbar sind.
    Ein dispositionsbezogener Rückwirkungsbegriff liegt in der Konsequenz eines als Dispositionsschutz verstandenen Vertrauensschutzes. Ist Vertrauensschutz definiert als Schutz von Dispositionen, die auf der Basis einer zum Dispositionszeitpunkt gegebenen Rechtslage getroffen wurden, so hat dieser Schutz notwendig an dem Zeitpunkt anzusetzen, zu dem der Bürger mit Rücksicht auf diese Rechtslage bereits Entscheidungen und Dispositionen getroffen hat. Wird Vertrauen auf die Beständigkeit des Rechts in allen Fällen enttäuscht, in denen Handlungen, die zeitlich vor der Verkündung des neuen Gesetzes erfolgten, sich infolge einer Gesetzesänderung nachträglich als nachteilig erweisen, so ist es nur konsequent, alle diese Fällen unter den Begriff der Rückwirkung zu fassen. Ein dispositionsbezogener Rückwirkungsbegriff stellt auf den steuerbegründenden Vorgang a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