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 시대 기본권 제한의 새로운 쟁점과 법치주의 – 미국의 백신접종정책을 중심으로 – (New Issues of Restrictions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Corona Era and Rule of Law — Focusing on US vaccination policy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12
48P 미리보기
코로나 시대 기본권 제한의 새로운 쟁점과 법치주의 – 미국의 백신접종정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헌법학연구 / 27권 / 4호 / 79 ~ 126페이지
    · 저자명 : 이노홍

    초록

    글로벌 보건 위기 상황인 코로나19 팬데믹은 세계적인 혼란을 초래하며 그간 상상할 수 없었던 일상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최근 세계는 일명 백신 패스제를 실시하여 백신 접종자 및 완치자 중심의 일상 회복을 꾀하는 위드코로나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런 백신 접종 정책은 그 적용 범위나 강도에 따라서는 사실상 백신 강제를 의미하여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 종교나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고 백신 접종을 근거로 한 차별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많은 코로나 사상자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는 연방공무원, 의료시설 종사자, 심지어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도 백신접종을 의무화하는 적극적인 백신 정책을 펼치고 있다. 주들의 경우, 강력한 백신 접종정책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지만, 연방의 백신의무제를 반대하는 소송을 제기하거나 백신 패스제와 같은 제도의 도입을 금지하는 주들도 있어 혼란이 초래되는 상황이다. 미국은 21세 이상 성인에게 천연두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고 위반 시 벌금을 규정한 주법의 합헌성을 인정한 1905년 Jacobson 판결 이후, 백신 접종정책을 정부의 재량권 행사 영역으로 보고 있다. 그렇지만 Jacobson 판결은 주 권한에 대한 단순한 합헌성 추정이 아니라 주 개입의 필요성, 합리적 수단의 사용, 비례성 등을 판단한 사실상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한 것이라는 평가도 존재하고, 접종 거부 시 상대적으로 적은 벌금만을 부과하였던 Jacobson 사안과 달리 오늘날의 매우 엄격한 백신접종정책들에 대한 헌법적 논의는 지속되고 있다.
    우리도 방역(백신)패스제를 실시하여 감염취약시설 및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고 있으나 확대 적용 가능성도 열려있다. 먼저 백신 접종여부를 근거로 한 방역지침을 현재 단순히 출입자 명단 작성, 마스크 착용 등과 같은 방역지침의 예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법률유보 원칙에 위배되기에 보완이 필요하다. 한편, 코로나 위기와 같은 특수한 보건위기 상황에서는 공공 보건을 위한 국가의 재량권이 인정되고, 엄격심사의 대상이 되는 기본권 제한 영역일지라도 그 심사기준은 목적과 수단 사이에 진정한 실질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현재 고위험 다중시설의 이용 등에 한정하여 백신 접종 및 음성확인제를 실시하는 것은 이 심사기준에 위반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백신 패스제는 매우 예외적 상황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그 도입과 확대에 있어서는 국가 보건 위기의 정도, 백신의 안정성과 집단 면역을 위한 접종률, 백신의 효능 및 미성년자 접종 여부 등의 문제를 신중히 검토하여 항상 공공 안전과 국민의 기본권이 실질적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충실한 방안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VID-19 pandemic, a global health crisis, has caused global chaos and brought about a radical change in daily life. Recently, the world has introduced a so-called vaccine passport policy which aims to restore daily life centering on vaccinated people. However, According to the scope or intensity of the vaccination policy, criticism has been raised that it violat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body, freedom of religion or thought and discrimination based on vaccination. U.S. federal government is mandating compulsory vaccination of federal officials, health care workers, and even employees. Some states also have strong vaccine passports policies, but others are filing lawsuits against the federal vaccine compulsory policies and vaccine passports policies.
    This article will consider the new issues of restrictions on fundamental rights in the era of the corona crisi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ule of law and examine the problems of the vaccine passports polices in the Corona Era. It will look into constitutional debates about vaccination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ses about vaccine mandates. The study will articulates the U.S. supreme court cases and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vaccine passports policy. Finally, it deals with standard of judicial review and constitutionality of the vaccine passport polic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