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 윤리의 새로운 정향: 노동의 기회와 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The New Orientation of Work Ethic: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Opportunity and Quality of Work)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08.05
28P 미리보기
노동 윤리의 새로운 정향: 노동의 기회와 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23권 / 119 ~ 146페이지
    · 저자명 : 소병철

    초록

    생존의 수단인 동시에 자율적인 자기실현의 기회이기도 한 인간의 노동은 오늘날 두 가지의 시련, 즉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다시 말해 노동 인구의 상당수는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여 절망하고 있고, 또 다른 상당수는 인격의 자율성과 심신의 건강을 심각히 저해하는 노동 조건으로 고통받고 있다. 문제는 이 두 가지 시련에 대처할 수 있는 공적ㆍ사회적 행위의 규준들을 우리가 아직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 노동 윤리는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라는 ‘구조적인’ 질곡과 그것의 극복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오히려 그러한 질곡의 희생자인 노동자들의 ‘개인적인’ 분발을 촉구해 왔을 뿐이다. 그러한 윤리에 따르면 노동은 설령 노동자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그의 심신을 피로의 극단으로 몰고 가는 혐오스러운 고역일지언정 하나님의 소명이자 은총의 시험임에는 틀림이 없다. 따라서 그것은 그러한 질곡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는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오직 부지런히 일해야만 한다는 무조건적인 의무를 과할 뿐, 그들을 온당한 권리의 주체로서 배려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근면이라는 외형에 최우선을 두는 윤리는 노동 기회의 현실적인 보장과 노동의 실질적인 내용을 중시하는 모종의 사회 윤리로 대체되어야만 한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그러한 새로운 노동 윤리의 가능성을 ‘노동의 기회’와 ‘노동의 질’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사회 윤리의 관점에서 타진해 볼 것이다.

    영어초록

    Our work is, in essence, a means of our living and an opportunity of our autonomous self-realization. But it is now faced with two serious trials, mass unemployment and work alienation. Namely, the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whole work force is being driven to despair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its majority is suffering from the working conditions which ruin the personal autonomy of workers and injur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the canons of public and social ac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ose trials yet. The traditional Protestant work ethic has not been concerned about the solution of such structural troubles, but only has stimulated their victims, workers to exert themselves more and more. According to such an ethic, work must be a God's calling and a test of his grace, although it is an abominable toil which ruins workers' autonomy and extremely exhausts their mind and body. For that reason, such an ethic imposes an absolute duty to work diligently on numerous powerless workers, but never considers them as the proper subjects of human rights. And so it must be replaced with a certain kind of social ethics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the substantial ensuring of the opportunitie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life. In this paper, I will grope for the possibilities of such a new work ethic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social ethics, focusing on the two themes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