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의 뿌리로서의 공공성(公共性) - 존 듀이 예술론의 새로운 해석 - (Art Embedded in Publicness - Reconstruction of John Dewey's Theory of Art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예술의 뿌리로서의 공공성(公共性) - 존 듀이 예술론의 새로운 해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68호 / 175 ~ 206페이지
    · 저자명 : 민주식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부터 30년대에 걸쳐 존 듀이가 사색 한 예술과 교육의 문제를 이 시기의 정치적 사회적 연관 가운데에서 해석하고, 미적경험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공공적인 것’을 구축하려고 시도한 듀이의 탐구의 독자성을 밝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우선 당시 예술론의 전개 가운데에서 듀이의 위치를 정위하고, 다음으로 경험을 기초로 한 그의 예술론의 특징을 고찰하며, 나아가 그것이 공공성의 개념 형성에 미친 의미를 실천적인 관점으로부터 검토한다.
    듀이는 권리와 자유의 개념을 사회적으로 정착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민주주의적인 커뮤니티’의 형성에 주력하면서, 공(公)교육을 재생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였다. 그런데 그가 다름 아닌 예술이 커뮤니티를 구성한다고 주장하고, 미적인 영역에 관해 자주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그가 이 물음을 예술의 측면에서 심화시켜 연구한 것이 1934년에 출판된 『경험으로서의 예술』이다.
    듀이 예술론을 그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견주어 생각해 보면, 두 가지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하나는 듀이가 예술을 사회나 문화 그리고 교육의 실천적인 영역과 관련지우면서 탐구하고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듀이가 예술을 인간 상호간의 경험의 장벽을 넘어서서 경험을 공유한다고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경험의 재구축을 통하여 예술을 ‘공공적인 것’으로 파악한다고 하는 과제를 전개하였다. 듀이는 개인과 사물이나 타자나 문화와의 ‘상호작용’을 기초에 둠으로써, 사람들의 경험세계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의 형성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듀이는 다양한 공중의 참가에 의해, 예술의 공공성을 수립하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그에 의하면, 예술은 ‘소통하는 관중’을 창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차단하는 장애물 없는, 완전한 커뮤니케이션의 미디어이다. 듀이는 예술의 기초에 사람들의 일상경험이 있음을 인식하고, 예술을 문화와 사회 가운데에서 성숙시키려 하였다. 그는 서로의 경험세계를 함께 즐기는 커뮤니티에서 ‘공공적인 것’의 성립기반을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clarifies John Dewey's reconstruc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light of recent studies that interpret his theory of art as being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issues. By focusing on Art as Experience(1934) and his other works in the 1920s and the 1930s, the following three points are indicated. Firstly, he developed his concept of art through his inquiry into the common experience shared by mankind. By criticizing art that is spiritualized out of any connection with the world of daily life, he insists that the experience of art is public and communicating since it has the potential to create community. Secondly, Dewey was critical of the nationalism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mentality in the 19th century that had deprived art of the actual sense of community and helped to separate people's experiences. In contrast, his theory of art reflected the public participation of the mass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irdly, it is of great help to see Dewey's friendship with Albert C. Barnes. Barnes established the school that idealized Dewey's concepts of democracy and art education, though they faced many difficulties of putting their ideals into practice. It follows from these that Dewey attempted to construct a publicness found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community.
    This paper clarifies John Dewey's reconstruc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light of recent studies that interpret his theory of art as being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issues. Dewey developed his concept of art through his inquiry into the common experience shared by mankind. By criticizing art that is spiritualized out of any connection with the world of daily life, he insists that the experience of art is public and communicating since it has the potential to create community. Dewey was critical of the nationalism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mentality in the 19th century that had deprived art of the actual sense of community and helped to separate people's experiences. In contrast, his theory of art reflected the public participation of the mass culture in the 20th century. It is of great help to see Dewey's friendship with Albert C. Barnes. Barnes established the school that idealized Dewey's concepts of democracy and art education, though they faced many difficulties of putting their ideals into practice. It follows from these that Dewey attempted to construct a publicness found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