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학의 예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17세기 송시열 예학을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Confucian Ritual Propriety and Women -Focusing on Uam Song Siyŏl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5
24P 미리보기
유학의 예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17세기 송시열 예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61호 / 9 ~ 32페이지
    · 저자명 : 왕화영

    초록

    예(禮)는 유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로서, 과거와 현재를 통괄하며, 사람 사이의 소통을 적절하고 알맞게 해주는 모든 것이며, 동아시아 및 사회·정치제도 등의 이해와 실행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근대 초기부터 여성주의자들은 유학의 경전은 남성 지배적 의례와 사회제도의 근간이 되어, 가부장적 종법제를 이상향으로 젠더에 대한 사회적 구분을 재생산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해왔다고 비판하였다. 여성주의적 예 비판에 대해 철학계에서는 예가 시대성과 개인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인(仁)의 표현에 불과하다는 인 우위론을 주장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인과 예를 둘러싼 여성주의 학자와 유가철학자의 논의는 유학 내 예의 위치와 의미의 재고와 함께 여성의 생의 주기 속에서 유교의 예가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개념적이고 서술적인 반성의 필요성을 드러내었다. 17세기 한국의 예학, 특히 송시열의 예학은 이러한 작업의 시초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의 신유학은 예에 강한 관심을 보이고 그러한 예학적 사고로 사회를 재구성했다는 독특성을 갖는다. 신유학적 예 이해는 형이상학적 정신문화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규정하는 견고한 예의 규정을 이루었다. 특히 우암 송시열은 기호예학을 계승하여 시의적·의리적 사고를 더하여 “의리를 구현시키는 실천예학”으로 발전시켰다. 그의 예학관과 여성관은 이후 조선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여성 관련 글을 남기기도 했다. 송시열의 가례관을 중심으로 그가 예를 이해하고 실천하고, 다시 철학화 과정과 그 창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작업은 예의 여성주의적 미래를 상상하는 데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one of the major values of Confucianism, ritual propriety connects past and present, appropriate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rovides found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and practices. From the beginning of modern era, feminists criticized Confucianism for its texts offered male-centered ritual and social institutes, and its reproduction and stimulation of gender equality based on its male-centered ideal, a descent-line heir system. Recently Confucian philosophers countered the criticism by arguing that ritual propriety is subject to time and individuality, therefore ritual cannot be equated with the supreme virtue, ren. The debates over humaneness(ren) and ritual propriety(li) revealed the need of re-examination of the meaning and position of ritual propriety within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need of feminist approach that brings women’s lived experience into the discussion of ritual propriety. The paper argues that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seventeenth century provides an invaluable insight for its unique interest and development of ritual learning (yehak). The ritual learning influenced not only on metaphysical world but also everyday life. Uam Song Siyŏl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philosopher of the time. He succeeded the understanding of Kiho School and stressed actualization of righteous principles in reality. Uam also wrote sizable writings on women. Analysis of the philosophizing process of Uam’s understanding, appropriating and recreating of family rituals related to women will provide a way to imagine a feminist future of Confucian ritual propr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